2024년 06월 26일 수요일

  • 서울 30℃

  • 인천 28℃

  • 백령 27℃

  • 춘천 30℃

  • 강릉 27℃

  • 청주 30℃

  • 수원 30℃

  • 안동 29℃

  • 울릉도 22℃

  • 독도 22℃

  • 대전 30℃

  • 전주 30℃

  • 광주 30℃

  • 목포 28℃

  • 여수 27℃

  • 대구 30℃

  • 울산 26℃

  • 창원 29℃

  • 부산 26℃

  • 제주 22℃

IT 상장 앞둔 와디즈, 끊이지 않는 '부실 상품' 판매 여전

IT IT일반

상장 앞둔 와디즈, 끊이지 않는 '부실 상품' 판매 여전

등록 2024.06.17 07:00

수정 2024.06.17 11:58

김세현

  기자

내용 부실한 전자책, 최대 250만원에 펀딩···고객 분통와디즈 "미흡한 부분 보완···환불 조치 완료한 상태"300원짜리 中 칫솔, 값올려 되팔기도···"검열 강화해야"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가 또다시 부실 상품 판매 논란에 휩싸였다. 내용이 부실한 전자책을 수십만원에 판매하거나, 값싼 중국산 제품을 들여와 고가에 내놓는 등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오랜 기간 유사한 논란이 일고 있음에도 개선되지 않는 건 문제라며, 검열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와디즈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불만을 가진 소비자들이 환불을 요구하는 일이 있었다. 논란이 된 상품은 지난 2월 공개된 중국 사입(상거래 목적으로 물건 따위를 사들임) 관련 전자책으로, 중국 현지에서의 원가절감 방법 등과 같은 사입 노하우를 담았다고 광고했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가 부실 상품 판매 논란에 휩싸였다. 그래픽=이찬희 기자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가 부실 상품 판매 논란에 휩싸였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패키지 구성에 따라 28만8000원부터 249만1000원에 판매될 정도로 가격이 저렴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마진 80% 되는 300-500만원 목표 제품 ▲국내 유일, 평생 등 확인이 불가능한 단정적 표현 등으로 과장 광고해, 679명으로부터 2억6323만2000원을 펀딩하는 성과를 냈다.

그러나 내용은 부실하다는 불만이 많다. 고객들은 ▲"전자책에 오타가 많다" ▲"링크만 담겨있고, 36만원의 가치가 없다" ▲"전자책 자체가 정리가 안 돼 있다"는 등 불만을 토로했다.

와디즈는 이런 고객 불만을 접수한 뒤 판매자 측에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과 환불을 요청했고, 판매자는 누락된 목차 등을 새로 넣고 오탈자 검수도 진행했다. 와디즈 관계자는 "전자책 펀딩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면서 "(원하는 고객에게는) 환불 조치를 완료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와디즈의 부실 상품 판매 논란이 처음은 아니라는 점이다. 앞서 와디즈는 지난해 3월 와디즈 펀딩을 통해 공개된 챗GPT를 활용한 수익화 전자책이 논란 끝에 펀딩을 중단한 사례도 있다. 당시 전자책에는 실리콘밸리에서 학위를 취득하거나 업무를 본 게 아니라, 단순히 방문한 것임에도 '실리콘밸리에서 온 개발자'라고 표현하는 등 과대 광고 지적을 받은 바 있다.

2022년 판매된 전자책도 비슷한 논란이 있었다. 영상 편집과 번역 등의 강의를 통해 대기업 연봉 이상의 부업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홍보했으나 내용이 부실하다는 소비자 불만이 이어졌다. 해당 서비스 투자에 참여한 인원은 3500여명이었으며, 이후 환불 조치가 이뤄졌다.

이 밖에도 중국 알리바바에서 300원에 판매되는 칫솔을 개당 2500원에 펀딩하거나, 무선 이어폰, 저당밥솥, 빔프로젝터 등 여러 상품들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으로 중국에서 들여온 뒤 로고와 포장지만 변경했다는 논란도 일었다.

업계에서는 결국 펀딩 제품의 질을 높이려는 회사의 노력이 미흡한 탓이라고 분석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상품의 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제품들이 자주 등장하면서 펀딩 제품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면서 "소비자 보호를 위해 판매자나 제품에 대한 검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와디즈는 책임 중개 강화를 위해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사후 모니터링 및 AI 심의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고 뒤늦게 밝혀왔다.

와디즈 관계자는 "메이커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해 사후심사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100% 전수 모니터링 진행 중이다"며 "AI 심의 기능도 도입해 운영중이고, 전자책 프로젝트는 메이커에 대한 과거이력, 매출 성과에 대한 과장광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수 모니터링 및 사실확인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와디즈는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다. 신한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주관사로 참여한다. 수익성이 좋지 않은 만큼 이익 미실현 특례 방식으로 상장할 전망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