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8일 월요일

서울 26℃

인천 27℃

백령 26℃

춘천 24℃

강릉 28℃

청주 26℃

수원 26℃

안동 23℃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25℃

전주 25℃

광주 24℃

목포 26℃

여수 26℃

대구 26℃

울산 26℃

창원 26℃

부산 26℃

제주 24℃

금융 1%대로 낮아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중동사태는 유가 변수

금융 금융일반

1%대로 낮아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중동사태는 유가 변수

등록 2024.10.02 10:24

박경보

  기자

공유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한국은행은 2일 오전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의 물가 상황과 향후 물가 흐름을 점검했다고 이날 밝혔다.

김 부총재보는 이날 회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낮아지고 근원물가 상승률은 2% 수준에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물가안정의 기반이 다져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가격의 큰 폭 하락 등으로 1%대(1.6%)로 낮아졌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전월보다 소폭 둔화되며 2%를 기록했다.

석유류 가격은 최근 유가 하락 및 지난해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7.6% 하락했다. 농산물가격은 폭염에 따른 채소가격 상승에도 과실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가 둔화됐다. 이에 따라 생활물가 상승률도 1%대 중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은 국제유가의 큰 폭 하락 등 대부분 공급측 요인에 기인한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0.42%p)에서 석유류가격 하락 비중은 약 80%(기여도 0.33%p)에 달한다.

한은은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를 밑돌다가 연말로 갈수록 기저효과 등이 작용하면서 2% 내외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중동사태 전개 양상에 따른 유가 불확실성이 변수로 꼽혔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