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아파트 분양 개점휴업···미분양 감소 '착시효과' 확산

부동산 건설사

아파트 분양 개점휴업···미분양 감소 '착시효과' 확산

등록 2025.04.01 11:06

수정 2025.04.01 11:17

권한일

  기자

공유

건설사 현금 흐름 불안 가중서울도 일반분양 7주째 '뚝'

올해 신규 분양 공고가 급감하면서 업황과 무관하게 미분양 주택이 감소하는 지표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올해 신규 분양 공고가 급감하면서 업황과 무관하게 미분양 주택이 감소하는 지표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분양이 줄어서 현금 회전이 잘 안된다. 그래도 분양을 안 하는 게 더 낫다. 계속 미루고 있다." (A 건설사 부장)

미분양 주택 총량이 석 달 만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지만 정국 불안과 신규 분양 급감에 따른 착시효과라는 지적이 주를 이룬다. 청약 순위 내 미분양 가구가 준공 시점까지 나가지 않는 '악성 미분양'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시행사와 시공사들은 분양 예정단지를 올해 하반기까지 길게 미뤄두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1일 국토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로 전월 (7만2624가구) 대비 3.5%(2563가구)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7600가구로 한 달 새 10.9%(2148가구), 지방은 5만2461가구로 0.8%(415가구) 감소했다.

그러나 이 같은 미분양 감소는 신규 분양 자체가 급감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국토부 집계를 보면 올해 1~2월 두 달간 전국에서 분양된 아파트는 총 1만2825가구다. 이는 지난해 동기 분양물량(3만9924가구)의 3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다. 특히 서울·수도권의 두 달 합산 분양 가구는 총 3617호로 전년 1만9965가구 대비 81.9% 급감했다.

업계에선 주택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이 자체 사업을 거의 내려놓다시피 한 데다 웬만한 도급사업 수주도 사업성에 따라 접근하는 와중에, 성패에 따라 회사 경영에 직격탄이 될 수 있는 신규 분양은 무조건 보수적으로 가져가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지난달 분양을 계획한 아파트 중 실제 분양된 곳은 10가구 중 4가구에 불과했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기분양 예정 물량 총 1만2676가구 중 실제로 분양된 단지는 5385가구로 공급 실적률은 42%에 불과했다.

특히 흥행 보증 지역으로 꼽히는 서울에서도 일반분양이 7주째 나오지 않고 있다. 지난 2월 초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삼성물산, 일반분양 482가구) 이후 모집공고 조차 없다. 최근 5년간 서울 시내 역대 1분기 기준으로 최저치다.

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에서 당초 이달께 분양할 것으로 예상됐던 구로구 '고척 힐스테이트 푸르지오'와 강남구 역삼동 '자이 더 캐럿 141', 성북구 동선2구역 등 3개 단지의 공급 계획이 일단 5월 이후로 미뤄졌다. 또 송파구 잠실동 미성크로바아파트를 재건축 중인 '잠실르엘'(롯데건설, 일반분양 213가구)은 올 상반기 분양을 추진했지만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

이 밖에도 은평구 대조동 '힐스테이트 메디알레'와 강남구 역삼동 '역삼센트럴자이' 등도 분양 임박 단지로 분류됐다가 현재는 시점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탄핵 정국과 향후 예상 흐름, 학교용지 부담률 조정 시기 등을 종합할 때 빨라도 6월부터 분양 물량이 늘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 또한 국정 안정과 발주처의 판단 등에 따라 유동적인 부분이라 적극적인 분양 공고는 확신할 수 없다.

이 같은 상황에 건설사 유동성에 직격탄이 될 수 있는 준공 후 미분양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2만3772가구로, 2013년 10월(2만 4667가구) 이후 11년 4개월 만에 가장 크게 불어났다. 이 가운데 지방 물량(1만9179건)만 81%에 달한다.

정부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해 이달 말까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 신청을 받겠다고 했지만, 매입 가격과 시행·건설사의 희망가에서 괴리가 나타날 가능성이 남아 있다. 또 LH 재분양 시 빈집으로 남게 될 경우 혈세 낭비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LH는 매도 신청인(건설사)이 접수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와 매입 심의, 감정평가 산정, 매매 협의, 하자 점검 등의 절차를 거칠 계획이다. 매입 산정가는 '감정평가금 X 83% ±조정률'로 정했다. 조정률은 개별 아파트 분양률과 준공 후 미분양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따져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총 3000가구 규모로 매입 목표치가 낮고 미분양 주택이지만 제값에 매도하고 싶은 업계의 입장과 낮게 매입하려는 LH 입장이 맞설 수밖에 없다"며 "현재 건설 경기를 감안할 때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와 건설사 유동성 문제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정부의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으로 LH 매입 정책이 발표됐지만 시장 수요 위축을 단기간에 반전시키기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요자들의 청약 심리는 위축된 상태이고, 건설사들 역시 신중한 분양 전략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