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미디어 부문 신설···그룹 3대 포트폴리오로 채택AI 기술 접목···"미디어 특화 AI 에이전트 도입 준비"사업 모델 전면 수정···OTT·패스트·숏폼 플랫폼 구상
KT는 16일 서울 강남구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KT그룹 미디어토크'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KT 미디어 뉴 웨이(New Way)' 전략을 소개했다.
KT는 16일 서울 강남구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KT그룹 미디어토크'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KT 미디어 뉴 웨이(New Way)' 전략을 소개했다. 사진=강준혁 기자
미디어 부문 역시 이런 위기감에 최근 신설됐다. 김 부문장은 "미디어 부문 신설 배경 자체도 미디어 사업을 그룹의 3대 주요 포트폴리오 중 하나로 만들자는 취지"라며 "과거의 방식을 답습해서는 한계가 있기에 KT 미디어만의 새로운 길을 반드시 찾고자 한다"고 밝혔다.
기술적 변화도 모색한다. KT는 미디어 사업에도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서비스 가치를 제고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부문장은 "가장 중요한 동력 중 하나가 AI가 될 것"이라며 "AI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플랫폼 차원에서 고객 경험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김 부문장은 "이미 480만 AI 셋톱을 보유하고 있지만,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은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며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AICT 기업으로 변화를 가속하고 있는 상황, 미디어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사업 모델(BM)도 전면 수정한다. 김 부문장은 "채널과 VOD 중심의 전통적인 사업 모델에서 나아가 숏폼 등 새로운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이 과정에서 글로벌 사업 기회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신종수 KT 미디어 전략 본부장은 "미디어 콘텐츠 소비 형태는 점점 더 개인화 되고 있고, 디바이스 역시 훨씬 심리스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KT는 OTT, 패스트(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 FAST), 숏폼 등을 준비하고 있고, 이 영역은 국내 시장보다는 글로벌로 확장 될 수 있어야만 유효한 사업 영역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지식재산권(IP) 경쟁력도 강조했다. 신 본부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플랫폼 IP 파워가 경쟁 국가 대비 월등한 상황에서 글로벌 진출은 IP 리드 측면에서 굉장히 유효한 전략일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미디어 부문 성장 전략으로는 국내외 협업을 꼽았다. 신 본부장은 "KT 그룹 내 순환 구조는 성장과 확산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며 "오픈된 방식으로 외부 플레이어들과 제휴를 통해 생태계를 구축하고 더 큰 플레이어를 만들어 나가는 전략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스튜디오 지니의 콘텐츠 전략에 대해 정근욱 스튜디오 지니 대표는 "스튜디오 지니의 콘텐츠 전략 핵심은 IP"라며 ▲채널 확장 ▲포맷 확장 ▲글로벌 확장 등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정 대표는 "요즘 글로벌 패스트 시장이 굉장히 성장하고 있는데, 이런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유통 사업을 확장하고 이를 통해 아시아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키워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신 본부장은 "2026년까지 3년간 KT 그룹 차원에서 5000억원의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스튜디오 지니 성장 전략에 맞춰 제작에 대한 투자 규모를 줄이지 않고 지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