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화학업계가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가 앞당긴 풀인 효과(관세 시행 전 재고를 미리 확보하는)로 올해 1분기 반짝 성적표를 내놓긴 했지만, 이 또한 일시적일 뿐이다. 오히려 풀인 효과로 선반영된 탓에 2분기 이후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석유화학업계는 한때 국내 수출을 책임지던 산업이기도 했다. 수출은 국내 경제를 먹여 살린다고 할 정도로 버팀목 역할을 한다. 그중에서도 석유화학은 반도체, 자동차, 일반기계, 석유제품 등과 함께 5대 수출 품목으로 꼽히며 반도체보다 위상이 높았던 시절도 있다.
하지만 중국발 공급 과잉은 석유화학업계에 위기를 가져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중동에서도 석유화학 사업을 확장해가면서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을 짓누르고 있다.
정부도 이같은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의 위기를 인식해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팔을 걷고 나섰다. 작년 말 정부가 내놓은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보면 업계의 '자율적 재편'을 우선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는 또한 올해 상반기보다 구체적인 대책 방안을 내놓겠다고도 했다.
이에 지난 4월 한국화학산업협회는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석유화학 사업재편 컨설팅 용역을 진행해 산업부에 전달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다소 소극적인 태도에 기대감보다는 회의적인 시선이 우세하다.
정부가 올해 상반기 안에 후속 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는 차치하더라도 얼마나 뾰족한 대책 방안을 내놓겠냐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자연스레 스스로 고사하는 기업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마저 나온다.
물론 국내 일련의 상황들을 고려했을 때 정부 부처들도 운신의 폭이 작을 것 이라는데는 공감한다. 작년 말 탄핵 정국으로 사실상 무정부 상태에 접어들었고 다음달 조기 대통령 선거로 정권 교체를 앞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말이다. 다만 글로벌 경영 환경은 국내의 이같은 상황들은 고려해주지 않는다. 석유화학 기업들의 경영 환경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안 보이고 적자는 매일 같이 쌓여만 가고 있다.
이제는 정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석유화학 살리기에 나서야 할 때라는 지적이다. 단순 석유화학 '기업'이 아닌 '산업'을 살리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면 정부도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뉴스웨이 정단비 기자
2234ju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