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3일 목요일

  • 서울 28℃

  • 인천 27℃

  • 백령 23℃

  • 춘천 29℃

  • 강릉 30℃

  • 청주 30℃

  • 수원 28℃

  • 안동 31℃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30℃

  • 전주 31℃

  • 광주 31℃

  • 목포 29℃

  • 여수 31℃

  • 대구 34℃

  • 울산 33℃

  • 창원 33℃

  • 부산 32℃

  • 제주 30℃

산업 정부 지원 절실한 석유화학···"수출 의존도 낮춰야"

산업 에너지·화학

정부 지원 절실한 석유화학···"수출 의존도 낮춰야"

등록 2025.07.02 13:42

전소연

  기자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공유

에탄 수입과 정유사 통합 통한 원가 절감 모색"수출 의존도 낮춰야···고부가 중심 전환도 시급"협력 위한 공정거래법 등 관련 법규 개정도 요구

김지훈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표파트너가 2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 -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 세미나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전소연 기자김지훈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표파트너가 2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 -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 세미나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전소연 기자

"국내 석유화학 업체가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고부가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정부에서도 석유화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훨씬 더 많은 소통과 적극적인 역할을 해주시길 바랍니다."(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

국회미래산업포럼은 2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 -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 세미나를 개최하고 국내 석유화학 구조조정 현황과 전망을 살폈다. 이 자리에는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을 비롯해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성원 국민의힘 국회의원, 나성화 산업통상자원부 국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김지훈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표파트너는 '글로벌 다이내믹스(Dynamics) 변화 기반 한국 석유화학' 전망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먼저 "지금은 석유화학 구조조정의 1차 시기이며, 단순한 버티기로는 산업 생존이 어렵다"며 구조적 대응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범용 중심 포트폴리오와 높은 수출 의존도를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의 가장 큰 취약점으로 지목했다. 그는 "국내 내수 수요가 100이라면, 한국 업체들의 생산량은 245 수준으로 중동보다 수출 비중이 크다"며 "이로 인해 마진이 낮고, 범용 제품 위주의 포트폴리오가 형성돼 경쟁력이 약화됐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특히 국내 수출의 상당수가 중국으로 향하면서 고부가 제품으로의 전환이 지연됐다"며 "범용 제품 수출 축소와 다운스트림 중심 고부가 사업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산단 단위의 협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산단 내 다운스트림 축소는 납사 크래커 등 업스트림 설비의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쟁력이 낮은 설비는 구조적으로 조정해야 한다"면서 "산단 단위의 전략적 협업과 최적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국회미래산업포럼이 2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 -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전소연 기자국회미래산업포럼이 2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 -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전소연 기자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체들도 부진한 업황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며 국내 정유사들과의 전략적 협업을 제시했다.

토론에 참석한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은 "다운스트림 중심의 고부가가치 사업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국내 기업들은 현재 다운스트림 기술에서 중국보다 3~5년 정도 앞서 있지만, 중국 역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유사와의 협력을 통해 납사 원료 경쟁력을 확보하고, 설비 합리화를 추진하면 원가 경쟁력을 기존보다 5% 이상 충분히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급 과잉을 악화시키는 국내 신규 투자 및 가동은 중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본부장은 구조개편에 필요한 규제 완화도 촉구했다. 그는 "업계 간 합작사 설립을 추진할 때 손자회사에 대한 지분율 제한 등 여러 제약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규제가 완화된다면 기업들이 훨씬 더 빠르게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우 롯데케미칼 전략기획본부장도 비슷한 입장을 내놨다. 그는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계가 경쟁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을 보면 대부분 자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다"면서 "국내 시장이 아닌 해외 시장에서 경쟁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기업 간 시장 점유율만을 기준으로 한 독과점 판단은 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렇다면 의미 있는 협업 모델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