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이복률 교수 연구팀이 곤충의 장에 서식하는 공생균의 생존메커니즘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 후카츠 박사 연구팀과의 국제공동연구로 진행됐다.
그동안 공생균은 숙주의 특정세포에서만 살 수 있어 시험관 배양이 어렵고 배양할 수 있는 종만 분리하기도 쉽지 않아 공생관계에 대해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콩이나 벼 등의 즙액을 빨아 먹고 사는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와 그 장에 서식하는 공생균 벅홀데리아의 공생모델 시스템을 구축했다.
공동 연구팀은 노린재의 장에는 공생균 중 유일하게 벅홀데리아만 살고 있어 추출이 쉽고 다시 시험관에서 배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세포 내 알갱이 형태로 존재하는 미생물 폴리에스테르 PHA가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의 장에서 벅홀데리아가 생존하는데 필수인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 PHA를 만들지 못하는 돌연변이 공생균은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온도가 높아지는 등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면 생존률이 낮았다.
뿐만 아니라 PHA가 없는 돌연변이 공생균에 감염된 곤충은 성장이 느리고 몸집도 작은 것으로 나타나 공생균이 숙주인 곤충의 성장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복률 교수는 “인간의 장 공생균과 무관하지 않아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톱다리 개미허리 노린재는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기도 해 환경친화적인 해충조절방법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10일 자에 게재됐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cr2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