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카드사들은 현재 고객들이 급전용으로 이용하는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의 연간 금리가 적정한지 검토에 들어갔다.
지난 10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25%포인트 추가 인하한 이후 카드사 중에서는 KB국민카드가 가장 먼저 금리를 내렸다.
KB국민카드는 7.8~27.9%이던 현금서비스 연간 금리를 지난달부터 6.5~27.4%로 내리고, 카드론 연간 이자율도 6.9~26.5%에서 6.5~25.8%로 낮췄다.
현금서비스는 현재 연체기간에 따라 23.5~23.9%의 연체 이자율이 적용되고 있는데, 22.9~23.7%로 최대 0.6%포인트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카드론 연체이자율도 29.5~29.9%에서 28.5~29.2%로 내릴 전망이다.
우리카드도 이달 말부터 카드론의 금리를 연간 평균 0.3%포인트 인하하기로 하고, 조만간 고지할 계획이다.
현재 카드론은 6.9~22.9%의 연간 이자율이 적용된다.
지난 2분기 카드론의 평균 금리를 0.6% 포인트 인하한 현대카드는 내년 초에는 평균 0.5%포인트를 추가로 내릴 계획이다.
현재 카드론 금리는 6.5~27.5%의 연 이자율이 적용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이후 1년간 금리를 내리지 않은 삼성카드도 내년 초에는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의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삼성카드의 현금서비스 금리는 연 7.9~27.2%, 카드론은 7.9~23.9%다.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금리(현금서비스 6.9~27.4%, 카드론 5.58~22.4%)를 적용하는 NH농협카드도 추가 인하 여부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하나SK카드와 외환카드가 통합한 하나카드는 금리 산정 기준을 통합한 뒤 인하 여부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에 나설 계획이고, 신한카드는 내년 상반기 중 금리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나영 기자 lny@

뉴스웨이 이나영 기자
ln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