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흔들리는 수출강국···중국·반도체·자동차의 배신

흔들리는 수출강국···중국·반도체·자동차의 배신

등록 2015.11.01 12:18

현상철

  기자

공유

대중수출 작년보다 8% 하락반도체 올들어 첫 감소 자동차도 문제

연간 수출액 및 수출증감율 추이(사진 = 산업부 제공)연간 수출액 및 수출증감율 추이(사진 = 산업부 제공)


우리나라 수출이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이후 6년 만에 최악의 성적을 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0월 수출은 435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5.8% 감소했다.

수출 감소율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은 세계경제 침체 속 저유가가 지속되면서 관련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던 영향이 컸다. 여기에 우리나라 주력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 ‘수출효자’ 품목이 작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든 것도 결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최근 유가하락으로 수출 품목 중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은 각각 31.6%, 44.9% 감소했다. 선박은 탱커, 컨테이너, 가스운반선 등 상선 위주의 인도로 인해 9억 달러 감소(63.7%)했다.

무엇보다 수출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효자 종목인 반도체 부문의 감소다. 산업부에 따르면 10월 반도체부문의 수출은 지난해 동월 대비 7% 하락했다. 이는 올해들어 처음으로 감소한 것이다. 반도체부문의 수출 감소는 PC 수요 부진과 모바일 기기 고용량화 정체에 다른 재고물량 증가로 인한 단기하락 때문이다. 지난해 같은 달 반도체 월간수출액(59억5000만 달러)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었다.

4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는 자동차부문 수출도 문제다. 자동차 부문은 6월(6%)을 제외하고 모든 달에서 마이너스 수출을 기록하고 있다. 원유와 원자재 가격 하락, 경기침체, 현지통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러시아 등 신흥시장 수출감소가 지속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수출대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경차 위주 수출로 단가가 하락하고 있는 것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자동차 수출 평균 단가는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1만4857달러였던 것이 올해는 8월까지 1만4252달러로 줄었다. 중고차, 특수차 등 기타 부분의 수출도 감소세다.

자동차부품 수출도 7.5% 줄었다. 지난해 10월 사상 최대 수출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있지만 중국,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의 경기침체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대중 수출이 감소한 것도 주목해야 한다. 10월 대중 수출액은 125억50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8% 떨어졌다. 중국은 우리나라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최대 수출국이다.

올해 들어 대중 수출은 1월(5.2%)과 6월(0.6%)을 제외하고 모두 감소했다. 10월까지 누적 수출액도 1145억68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2%감소했다.

한편, 10월 수입은 36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6%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6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45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