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10℃

  • 인천 11℃

  • 백령 10℃

  • 춘천 10℃

  • 강릉 6℃

  • 청주 11℃

  • 수원 12℃

  • 안동 12℃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11℃

  • 전주 10℃

  • 광주 10℃

  • 목포 11℃

  • 여수 12℃

  • 대구 12℃

  • 울산 12℃

  • 창원 13℃

  • 부산 13℃

  • 제주 16℃

‘신동빈 vs 정용진’ 中사업 놓고 엇갈린 운명

‘신동빈 vs 정용진’ 中사업 놓고 엇갈린 운명

등록 2017.04.25 16:21

수정 2017.04.25 16:31

이지영

  기자

공유

정용진의 이마트, 올해 중국사업 완전히 철수 신동빈의 롯데마트, 영업 지속방침 변함 없어

13억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시장은 유통업계가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한국 인구의 수십배에 달하는 중국에 대한 기대감은 지금도 상당하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내로라하는 세계적인 기업들에게도 중국시장은 어렵기만 하다. 롯데, 신세계 등 국내 유통공룡도 내수시장의 한계성을 예견하고 성장동력을 찾아 일찌감치 중국으로 앞다퉈 진출했지만 대부분 참패를 맛보고 있다.

◇이마트 중국사업 20년만에 완전 철수 = 국내 유통업체 중 가장 먼저 중국시장에 손을 뻗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20년 만에 이마트 중국사업을 완전히 접기로 했다. 6개 남은 점포가 계속 적자를 내는 상황에서 사업을 끌고 가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미 지난 2011년부터 점포 구조조정을 통해 매장을 줄여나가기 시작한 이마트는 현재 남아있는 7개 매장을 연내 정리해 중국시장에서 완전히 발을 빼기로 했다. 이달 말 임대 계약이 끝나는 상하이 라오시먼점은 계약을 연장하지 않았다.

남아 있는 루이홍점, 무단장점, 난차오점, 창장점, 시산점, 화차오점 등 6개 점포도 장기 계약에 따른 임대료 정산 문제, 고용 문제 등의 협의가 끝나는 대로 연내 폐점할 방침이다.

이마트가 중국 사업 철수를 결정하게 된 이유는 2011년 구조조정(12개 점포 매각) 이후에도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 중국사업 영업손실은 216억원으로 전년대비 351억원 개선됐으나 여전히 부담스러운 규모다.

유통 노하우에 있어서는 세계 어느 기업에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던 정 부회장은 지난 1997년 국내 유통업체 중 처음으로 중국 진출 출사표를 던졌다.

일찌감치 터를 닦았던 이마트는 중국 정부의 유통시장 개방 이후인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영토를 확장해 나가기 시작했다. 이때만해도 정 부회장은 10년 내 이마트 100호점까지 점포를 늘리겠다고 자신있게 포부를 밝히며 서둘러 점포를 늘렸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목표치의 3분의 1도 안되는 27개 점포를 오픈했을 때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 있었다. 중국 진출 9년 만인 2013년에는 이마트 중국법인이 매분기 1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내면서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결국 정 부회장은 상하이와 함께 양대 축이던 톈진 점포를 포기하고 대다수 점포를 매각하면서 ‘중국 철수’ 수순을 밟기 시작했다. 12개 매장을 하나씩 매각했고 현재 남아있는 6개 매장도 서둘러 정리할 계획이다.

이마트가 중국에서 실패한 가장 큰 원인으로는 중국의 배타적 문화에 따른 현지화 실패가 꼽히지만 앞뒤 안보고 무조건적인 점포확장 전략으로 임차료 부담, 입지 선정 실패 등 시장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이마트는 매년 매장수를 줄여 영업 적자 폭을 지난 2014년 440억원, 2015년 351억원, 2016년 216억원으로 해마다 줄이긴 했지만 최근 3년 간 누적 적자만 1000억원에 육박했다.

◇영업 ‘올스톱’ 롯데마트, 점포 구조조정 = 10년전 중국시장에 야심차게 진출했던 롯데마트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수년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드부지 제공에 대한 중국당국의 보복까지 이어져 사면초가에 몰렸다.

사드보복으로 현재 중국 99개 점포는 90%인 87개 점포가 문을 닫은 상태다. 나머지 12개점포도 사실상 손님 발길이 끊겨 휴점 상태나 다름이 없다. 사실상 마비된 중국 롯데마트의 손실은 시간이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언제 영업을 재게할지 기약도 없는 상태에서 매달 임대료와 인건비 등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중국 당국이 롯데마트의 영업을 풀어줄 의사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중국당국은 롯데마트가 지적사항을 개선해도 온갖 트집을 잡거나 영업재게를 위한 현장점검 자체를 회피해 버리고 있다.

이에따라 롯데마트의 중국 철수설은 끊이지 않고 나오고 있다. 지난 2015년 롯데家의 형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전 일본롯데 부회장의 경영권 분쟁 역시 중국사업의 실패가 단초가 됐다. 신 회장이 중국시장에서 1조원 손실 사실을 제대로 보고 하지 않으면서 신격호 총괄회장이 격분했고, 신 회장에게 기울었던 마음을 돌리는데 중요 변수를 제공했다.

여기에 사드보복 불똥까지 튀어 중국 사업이 사실상 마비상태에 이르자 롯데의 중국사업 철수설엔 더욱 힘이 실렸다. 하지만 롯데는 오히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사업에 3800억원대 긴급자금을 수혈하면서 중국사업 고수 의지를 내비쳤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중국사업을 지속하겠다는 신 회장의 뜻이 확고한 만큼 중국 사업철수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마트 영업이 재게되면 부실점포들을 하나씩 정리히는 구조조정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이미 지난 2013년을 기점으로 점포 구조조정을 실시해왔다.

롯데마트는 지난 2007년 12월 네덜란드계 마크로(Makro) 8개점을 인수하며 중국시장에 본격 진출하고 2009년 중국 내 대형마트인 타임즈 65개점을 추가로 인수해 세력 확대에 나섰다. 이후에도 점포수를 계속 늘려 2011년 94개, 2012년 102개, 2013년 115개까지 점포를 늘렸다. 점포 확장에 매진하던 롯데마트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적자가 늘자 2013년을 기점으로 중국에서 부실점포를 정리하면서 사업을 조금씩 축소했다.

한편, 재계와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롯데의 중국 철수를 완전히 배제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손윤경 SK증권 연구원은 “회사 측은 부정하고 있지만 적자폭 확대 가능성은 롯데쇼핑의 중국 사업 철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며 “중국 시장의 잠재력은 여전히 높지만 롯데쇼핑이 중국 사업을 통해 큰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한 가운데 확대된 불확실성이 향후 성장성도 낮췄다”고 설명했다.

그는 “롯데쇼핑이 중국 사업을 철수하더라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사업을 통해 글로벌 성장 전략을 추진할 수 있다”며 “중국보다 진출이 늦었던 인도네시아 베트남 사업 규모는 현재 중국보다 더 큰 사업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진단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13억 인구를 보유한 중국은 그만큼 성장 잠재력이 커 기업입장에서 포기하기 어려운 시장인 것은 사실이다”면서 “롯데의 경우 중국에서 손실규모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라 당장 사업철수까지는 아니더라도 사업 규모는 대폭 축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8일 오후 중국 지린성 장난 지역의 한 롯데마트 앞에서 10여명의 중국 주민들이 롯데의 사드 포대 부지 제공과 한반도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문구를 담은 붉은색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28일 오후 중국 지린성 장난 지역의 한 롯데마트 앞에서 10여명의 중국 주민들이 롯데의 사드 포대 부지 제공과 한반도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문구를 담은 붉은색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뉴스웨이 이지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