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의 선택을 받은 답변(30.7%)은 바로, ‘내 집 마련’이었다.
거주 지역, 직업, 가구 구성원, 라이프 스타일 등 사람 사는 모습은 개성에 따라 제각각이지만 내 집 마련만큼은 누구에게나 인생의 어느 지점에서 한번은 마주하게 되는 큰 숙제이자 목표일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 최근 주택청약통장이 가입자 2,500만명을 돌파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우리 국민의 절반에 달하는 수치다. 하지만 만만치 않은 집값 탓에 그 목표는 때때로 누군가에게서 뒷걸음질 치기도 하는 게 현실.
요즘 집값은 어떤 상황일까?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9.13 대책의 영향으로 11월 2주 이후 32주 연속 주택 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올해 7월부터 다시 상승 전환해 소폭 오름세를 보이는 중이다.
▲9.13 대책 이후 서울 주택 가격 변동률
11월 2주 –0.01%
2월 2주 –0.07%
6월 4주 0.00%
7월 1주 0.02%
8월 1주 0.03 / 3주 0.02%
9월 1주 0.03 / 2주 0.03%
지난달 말 기준으로 조사된 KB국민은행 ‘월간 주택시장 동향’을 보면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사려면 연소득이 중간 정도 되는 가구가 10.8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어지간한 경제력으로는 상당한 대출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어림없는 일. 그렇다고 내 집 마련의 꿈을 포기하는 사람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서 우리 국민의 82.5%는 “꼭 내 집 마련을 해야 한다”는 의지를 보인 바 있다.
이들이 살고자 하는 집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오픈서베이의 ‘주거 생활 트렌드 리포트 2019’를 통해 지금 지내는 곳에 대해 먼저 살펴봤다. 조사는 미혼 38%, 기혼 62%의 비중으로 이루어진 20~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전체 응답자의 63%는 현재 아파트/주상복합에 살고 있다고 답했다. 다음은 22.1%로 연립(빌라) 및 다세대주택이 뒤를 이었고 이외 오피스텔, 단독주택, 상가주택, 기숙사 등이 언급됐다.
해당 집이 자가인 응답자는 57.0%로 적지 않았고 이외는 전세(23.2%), 월세(14.4%), 반전세(3.9%)로 거주 중이었다. 주거 면적의 경우 미혼/독립 가구는 20평 이하(81.9%), 기혼/무자녀 가구는 20평대(64.0%), 기혼/유자녀 가구는 30평대(51.2%)에 사는 비중이 높았다.
지금 사는 집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가격이 적당해서(58.2%), 집 구조나 크기가 적당해서(50.7%), 출퇴근 및 등하교가 편리해서(49.5%)라는 답변이 많았다.
또한 전체 응답자 중 무려 58.3%는 5년 이내 집을 살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말처럼 아파트/주상복합(69.9%)에 대한 선호도가 절대적이었다.
▲향후 거주 희망 주택 형태
향후 거주를 희망하는 지역은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지 물었다. 연령과 세대구성에 따라 다양한 조건이 언급됐지만, 가장 많은 이들이 중요시하는 기준은 바로 교통이 편리한 곳(68.1%)이었다.
이밖에 상업/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진 곳, 자연 환경이 좋은 곳, 주변 치안이 안전한 곳도 거주지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라고 입을 모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의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어떨까. 집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살펴보는 부분은 다름 아닌 구조(45.2%). 또 이에 못지않게 관리 상태(44.6%), 주변 편의시설(42.0%), 방향(37.7%), 주차 여부(34.7%), 보안/안전(34.0%)도 주요 고려 요소로 꼽았다.
가장 많은 이들이 주로 선호하는 집 구조의 경우 드레스룸, 다용도실, 베란다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다만 가구 구성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랐는데 기혼/무자녀 가구는 드레스룸, 다용도실, 세탁실을, 기혼/유자녀 가구의 경우 개인 창고, 복층 구조를 희망했다.
아울러 집 내부에는 에어컨·인터넷/와이파이·가스/전기레인지가, 외부에는 CCTV, 주차장, 엘리베이터가 옵션으로 포함된 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러한 모습은 선호도 조사에 따라 드러난 결과일 뿐. 개인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희망하는 주거 형태는 훨씬 더 다양할 수 있다.
최근 SNS상에서 논란이 된 5평짜리 청년주택 논란만 봐도 그렇다. 일부에서는 그렇지 않아도 힘든 청년들을 좁디좁은 5평방에 가두고 지원이라 생색이냐며 지적했지만, 또 한편에서는 그보다 더 열악한 환경에 있는 이들도 많아 고작 5평이라도 경제적 자립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도무지 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높은 집값에도 여전히 수년 안에 내 집 마련을 이뤄내겠다는 사람이 많다. 반면 청년들을 중심으로 그 목표를 엄두도 내지 못하고 포기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게 현실.
미혼남녀 44% “내 집 마련,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층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중
누군가 꿈은 생생하게 그려낼수록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는데, 이러한 공식이 내 집 마련을 향해 가는 저마다의 목표에도 유효한 사회가 되길, 그래서 포기하지 않는 이들이 더 많아지길 바라본다.
뉴스웨이 박정아 기자
p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