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부정거래 사례를 살펴보면 갑, 을 등은 차명계좌, 페이퍼컴퍼니를 이용해 기업A의 주식을 대량 매집했다. 매입 시 적대적 M&A로 알려지면 주가가 상승해 저가매수가 불가능해질 수 있어 매입사실을 은폐했다.
또 이들은 자신들이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기업B를 통해 기업A 주식을 추가 매입하면서 기업A의 기존 최대주주와 의도적으로 지분경쟁을 야기시켰다. 이때 기업 B의 주식매입 자금 조달 관련해 실질은 주식담보대출인데 정상적인 투자를 통해 유치한 자금인 것처럼 꾸몄다.
경영권 분쟁 뉴스의 영향으로 기업A의 주가가 크게 상승했고, 갑, 을 등은 매집해 놓은 기업A 주식을 상승한 주가에 기업B에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해 차익을 얻었다.
이에 대해 증선위는 “경영권 분쟁 뉴스 등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 불공정거래 세력이 낮은 가격에 미리 매수해 놓은 주식을 고가에 매도하기 위해 허위로 경영권 분쟁을 일으킨 것일 수 있다”며 “단순히 경영권 분쟁 뉴스만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재무상황, 기존 사업 업황 등까지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세조종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A의 실질사주 갑은 주가를 상승시켜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등을 원활히 추진하고 시세상승 차익을 취득하기 위해 시세조종을 계획했다. IR(투자자대상 기업홍보)기업을 운영하는 을에게 컨설팅 명목으로 자금을 제공하면서 시세조종을 의뢰했다.
또 을은 병에게, 병은 전업투자자인 정에게 시세조종을 의뢰했다. 정은 가족명의 계좌, 브로커를 통해 확보한 계좌 등 다수의 계좌를 준비해 시세조종에 이용했다. 이들은 서로 짠 후 매수·매도하는 통정매매, 직전 가격 대비 높은 가격을 반복적으로 제출하는 고가매수, 시가·종가 결정 시간대에 예상체결가격을 상승시키는 시·종가관여 매수 등의 매매양태를 보였다.
특히 기업A가 증자계획 발표 등 호재성 공시 시점에 맞춰 시세조종 주문을 집중 제출하는 등으로 시세상승 효과를 극대화했다.
증선위는 “IR계약을 가장한 시세조종 의뢰, 브로커를 통한 시세조종 계좌 확보 등 복잡해지는 불공정거래 수법에 엄중히 대응할 것”이라며 “투자자들은 타인에게 빌려준 계좌가 불공정거래에 악용되면 계좌주까지 직·간접적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미공개정보이용 사례에서는 기업A의 대규모 유상증자에 기업B 회장인 을이 참여하기로 합의하고, 을은 부하직원 병에게 제3자 유상증자 배정대상자 명단에 올릴 명의를 빌려달라고 요청했다.
병은 이에 응해 명의를 빌려주면서 기업A의 유상증자 정보를 지득했고, 병은 유상증자 정보가 공시되기 전에 본인 및 배우자 명의로 주식을 매입했다. 이어 유상증자 공시와 함께 주가가 급등하며 병은 부당이득을 얻었다.
증선위는 “어떤 방법으로든 공개되지 않은 내부정보를 알게 됐을 때, 이를 이용해 주식을 거래하면 형벌 또는 과징금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며 “미공개정보를 알게 된 경우 해당 주식거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