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된 가운데 경제주체들의 높아진 수익추구 성향이 자산가격 상승 기대와 맞물리면서 자산가격 요인에 의한 통화수요가 크게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인 통화지표인 광의통화(M2) 증가율을 보면 지난해 하반기 9%대로 다소 둔화됐다가 올해 10%대를 넘어선 이후 하반기에는 11~12대로 오름세가 확대됐다. 통화 증가세는 실물경제의 활동 정도를 나타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명목GDP 대비 M2 비율의 장기추세와의 차이인 유동성갭률을 보면 금융위기 이후 최대 수준으로 확대됐다.
민간신용의 높은 증가세가 전체 통화증가율을 이끌고 있다. 기업신용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가계부문도 지난해보다 기여도가 크게 확대되면서다.
한은이 통화수요함수를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코로나19 위기 이후 M2증가율이 장기균형 수준을 이탈하는 상태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화증가율 상승에 있어 성장‧물가 등 실물요인보다는 주택가격 등 자산가격 요인의 영향력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경제추제들의 높아진 수익추구 성향이 자산가격 상승 기대와 맞물리면서 자산가격 요인에 의한 통화수요가 크게 확대 된 것”이라며 “통화증가율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민간의 신용증가세가 보다 강화되면서 자산시장으로 과도한 자금 유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