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 최고세율 인하·규제 혁파 등 친시장 정책 물가 6%대···고물가 대책·부자 감세 프레임 난관
국회 회의장(임시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경제의 중심을 정부에서 민간과 기업, 시장 중심으로 되돌리고자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였다는 평가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물가와 민생 등 당면 현안에 우선순위를 둬야 했다.
추 부총리는 정부 출범 첫날인 5월 10일 0시를 기해 윤석열 정부 초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서 업무를 시작했다.
추 부총리의 취임 일성은 자유로운 시장경제에 기반해 경제를 운용하겠다는 것이었다. 경제운용을 정부에서 민간·기업·시장 중심으로 전환하고 민간의 자유·창의를 제약하는 각종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뜻이다.
추 부총리의 경제관이 가장 잘 드러난 경제정책은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25→22%)가 꼽힌다.
민간의 활력을 가로막는 규제를 혁파하고 최고경영자(CEO)에 몰린 형벌 규정을 행정제재로 전환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공공·연금과 노동시장, 교육, 금융, 서비스산업 등 5대 부문에 대한 구조개혁이나 확장재정에서 건전재정으로 기조 전환 역시 민간 중심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부동산 세제는 '정상화'를 모토로, 다주택 중과세율을 없애고 종합부동산세 기본공제를 기존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올리는 등 방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현실에선 물가와 민생 등 위기 대응에 가장 우선순위를 둬야 했다는 아쉬움이 나온다.
해외발 물가 상승이 국내로 확산·전이되고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주요국 금리 인상에 따른 수출·내수 불확실성 확대 상황을 '복합위기'로 가장 먼저 규정한 것은 추 부총리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7월 6.3%)까지 치솟자 여러 차례에 걸쳐 민생안정대책을 내놨다.
이 과정에서 추 부총리는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당국의 수장과 여러 차례 회동하며 공동 전선을 폈다. 경제주체들과 소통을 강화한 부분은 강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물가 상승의 배경이 해외발 변수이고 9~10월에 정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가파른 상승 곡선을 취임 이후 단 한 번도 꺾지 못했다. 취임 100일간 가장 아쉬운 부분은 물가다.
법인세 인하나 종부세 부담 완화 등 정책이 친(親)부자·대기업 정책이란 프레임의 공격을 받는 것도 과제로 남았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joojoos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