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5년 전인 2017년(92.0%)보다 16.2%포인트 증가한 108.1%를 기록했다.
증가폭만 보자면 IMF가 민간(가계·기업)부채 데이터를 집계하는 26개국 중 가장 높다. 우리나라는 26개국 가운데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 폭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다음으로 증가폭이 큰 슬로바키아는 9.1%포인트를 기록했다.
이어 ▲일본 7.7%포인트 ▲요르단 6.0%포인트 ▲룩셈부르크 3.9%포인트 ▲칠레 2.8%포인트 ▲스위스 2.5%포인트 ▲독일 2.3%포인트 등의 순으로 높았다.
기업부채도 빠르게 늘어나는 모양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큰 오름폭이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급증하면서 GDP 대비 민간부채(가계+기업) 비율도 빠르게 상승했다. 한국의 민간부채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지난해 281.7%로 42.8%포인트 상승했다. 비교 가능한 26개국 가운데 최대 증가 폭이다.
정부 부채도 늘었다. 지난해 한국 정부 부채는 GDP 대비 54.3%를 기록했다. 지난 2017년(40.1%)보다 14.2%포인트 증가했다.
업계관계자는 "가계 빚이 쌓이는데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가처분소득 감소와 기업실적악화, 정부 부채 증가가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모양새"라고 했다.

뉴스웨이 장귀용 기자
jim332@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