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3년 만에 가장 낮은 경제 성장률···올해도 '1%대 저성장' 우려

금융 금융일반

3년 만에 가장 낮은 경제 성장률···올해도 '1%대 저성장' 우려

등록 2024.01.26 10:17

한재희

  기자

공유

지난해 연간 경제성장률 1.4%에 그쳐···전년 대비 반토막한은 비롯한 국제기구 등 올해 성장률 2% 전망 내놨지만수출 부진·고금리 영향 등으로 1% 성장 전망도 적지 않아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지난해 한국경제가 연 1%대 성장에 그치면서 3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금융위기 등 대형 변수가 없는데도 성장률이 1%에 머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는 2%대 성장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1%대 성장을 예측하는 곳도 적지 않아 저성장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6일 금융업계 등에 따르면 각 기관이 내놓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한국은행과 정부가 각각 2.1%, 2.2%로 예상했고 OECD 2.3%, IMF 2.2% 등으로 대체로 2%대 초반의 성장률을 내놨다. 반면 자본시장연구원과 노무라증권 등은 1.9%로 1%대 성장률을 전망했는데 이렇게 되면 2년 연속 1%대 성장이 된다.

전날(25일) 한국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경제는 1.4% 성장하며 전년 대비 반토막이 났다. 한은과 정부의 예상과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자, 1954년 이후 처음으로 2% 미만 성장률이다.

특히 그간 1%대 성장률은 대형 경제 위기가 있을 때 경험한 숫자라는 점에서 지난해 경제성장률을 '저성장'의 신호로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지난 1980년 석유파동 당시 마이너스 1.6%를 기록했고 1998년 IMF외환위기 때 마이너스 5.1%,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0.8%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 2020년엔 코로나19 확산으로 마이너스 0.7% 성장률에 그쳤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대체로 2%대로 회복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경기 부진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반면 일각에서는 1%대 성장률이 이어질 것이란 분석도 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을 2.1%로 전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연간 성장률 수정 없이 당초 전망치는 유지했다. 정부는 이달 경제정책 방향에서 이보다 살짝 높은 올 성장률을 2.2%로 예상했다.

기관별로는 국책 연구기관인 KDI와 산업연구원이 각각 2.2%, 2.0%를 제시했고, 한국금융연구원은 2.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기구의 관측도 다르지 않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가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2% 성장을 예상했다.

다만 민간 연구소들의 평가는 박하다. LG경영연구원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8%로 전망했으며 신한투자증권은 1.7%로 더 낮은 전망치를 제시했다.

자본시장연구원도 올해 경제성장률을 1.9%로 예상했다. 고금리, 고물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부동산PF 부실로 인한 변동성이 높아진 데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 대규모 손실 등이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노무라증권 역시 올해 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상반기 정부가 내수 부진을 완화하기 위해 재정지출 집행을 강화하려고 하지만 고금리로 한계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경제는 전반적으로 상저하고 흐름이 예견돼 지난해 1%대였던 경제성장률은 올해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2%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상 중국과 미국의 내수 소비가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