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내 카드대출 및 연체 현황'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카드 대출 규모(전업카드사 8곳 기준)는 총 44조6650억원이다. 건수로는 1천170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감원이 통계를 추산한 지난 2003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이 가운데, 장기 카드대출인 카드론 규모가 38조7880억원(648만2천건), 단기 카드대출인 현금서비스가 5조8760억원(522만7천건)이었다.
고금리·고물가로 서민 경제가 어려워진 데다 1금융권과 저축은행 등이 대출 문턱까지 높인 영향 탓으로 해석된다. 돈줄이 막힌 취약계층이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와 같은 소액 급전에까지 손을 벌리고 있다는 뜻이다.
연체율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지난 8월 말 기준 카드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채권)은 3.1%로 나타났다. 카드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1.9%, 2022년 말 2.2%, 작년 말 2.4%로 증가하고 있다..
카드대출 연체 금액은 2021년 7180억원(20만건), 2022년 8600억원(24만9천건), 2023년 9830억원(26만5천건)에서 올해 8월 말 1조3720억원(31만2천건)으로 올랐다. 이 같은 연체금액은 지난 2003년(6조600억원)과 2004년(1조9천880억원) 등 카드 사태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큰 규모다.
이러한 상황 속 중저신용자,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상환 부담이 한계에 달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카드론 증가세의 많은 부분을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자영업자들의 부실 심화가 연체율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다중채무자일 확률이 큰 만큼 부실이 금융권 전반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금융권 대출을 최대한 당겨쓴 취약차주들이 불법 사금융에까지 손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 당국이 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카드사들의 카드 대출 자산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며 "서민 자금공급자 역할을 지속 수행하도록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km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