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회복 기자간담회···주주 표심 호소내달 23일 임시주총 개최···오는 20일 주주명부 폐쇄 앞두고 여론전 공세"최윤범 회장 취임 이후 주주가치 하락···자력으로 이사회 진입 어려워"
경영권을 노리는 MBK·영풍 연합과 지키려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모두 과반 지분을 미치지 못한 상황에서 '캐스팅보트' 표심을 얻기 위한 양측의 날 선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지배구조 개선'을 명분으로 내세운 MBK·영풍 연합은 최 회장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는 동시에 주주가치 제고안을 통해 기관투자자와 소액주주에 표심을 호소했다.
이사 추가 선임·집행임원제 필요성 역설···"소유·경영 분리
MBK는 10일 '고려아연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회복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추가적인 여론전에 나섰다. 내달 고려아연의 임시 주주총회 표 대결을 앞두고 주주들의 지지를 호소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MBK는 전체 주주가치의 회복을 위해서는 현재의 최윤범 회장 중심 기업지배구조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김광일 MBK 부회장은 "최윤범 회장 체제 출범 이후 고려아연의 주주 가치가 지속 하락했다"며 "현재의 지배구조를 바꾸지 않고서는 고려아연의 미래가 암울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내달 주총 안건으로 요구해 온 이사 추가 선임과 집행임원제 실시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현재 고려아연 이사회는 최 회장 측 12명에, 나머지 1명인 장형진 영풍 고문으로 구성돼 있다. MBK·영풍은 현재 이사회보다 많은 14명의 신규 사외이사를 선임해 판을 뒤집고, 경영권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이다. 이사회에는 MBK·영풍뿐 아니라 2대 주주인 최윤범 회장 측도 참여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김 부회장은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전문 경영인 체제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추천 이사들이 선임되더라도 최씨 가문이 2대 주주인 것은 사실"이라며 "이들의 협력 없이는 회사를 운영하기 힘든 만큼 CEO가 아닌 이사회 내로 끌어들이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외 MBK가 내놓은 주주가치 제고 방안으로는 ▲액면분할 ▲자사주 전량 소각 ▲배당정책 공시 정례화 ▲소수 주주의 분리 선출 사외이사 후보 추천 ▲투자심의위원회 신설 등이 있다.
최윤범 흠집 내기·주주 설득 '두 마리 토끼'···여론전 공세
이날 MBK가 기자간담회를 통해 여론전에 나선 이유는 비교적 명확하다. 사실상 주주수익률 하락의 원인으로 최윤범 회장을 지목하는 동시에 주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현재까지 양측의 지분 격차는 여전히 5% 내외로 영풍·MBK 연합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영풍·MBK 연합의 고려아연 지분율은 39.83%, 우호 세력 지분을 더한 최윤범 회장 측은 약 34%로 추산된다.
사실상 이번 임시주총에서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과 해외 기관, 소액주주 등 제3 주주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들 캐스팅보터의 표심을 자극할 명분 싸움에서는 경영권 분쟁 초기부터 '적대적 M&A'라는 의혹을 받는 MBK·영풍 연합이 최 회장 측에 크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자본이 기업을 인수하면 중장기적으로 주주 가치를 훼손할 것"이라며 MBK의 고려아연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해 이례적으로 우려를 표하면서 여론은 최 회장 측으로 기운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날 박 부회장은 지분 우위에도 불구하고 "자력으로 이사회에 진입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주주를 설득해야 한다"며 "얼마나 이사회에 진입할지 잘 모르겠다. 자신할 수 없다"며 다소 자신감 없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MBK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최 회장의 경영 자질과 주주가치 하락에 대한 문제 제기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면서 여론전의 반전을 꾀하는 분위기다.
박 부회장은 "지난 20년 동안 투자하면서 단기적인 투자 자본인데 제대로 하겠냐는 것은 늘 맞닥뜨리는 질문"이라며 "20년 뒤의 사업계획을 지금 세우는 것이 의미가 있냐"고 반문했다.
이어 "20년 장기 비전을 위해서는 현재 회사가 잘돼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좋은 임원·경영진 등 사람이 구성돼야 한다"며 "우리가 중장기적 이사회 임무를 감당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김다정 기자
dda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