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최 회장은 KBS 시사대담 프로그램 '일요진단'에 출연해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인공지능(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한국의 대미 흑자액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4년간 약 600억 달러(한화 87조5700억원)였지만 바이든 정부 4년간 약 1500억 달러(한화 219조원)로 크게 늘었다. 최 회장은 트럼프 2기 시대에 통상 압력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세계 무역질서가 WTO 다자주의 체제에서 1:1 양자주의 체제로 바뀌고 있고, 수십년간 활용했던 수출주도형 경제모델은 현재의 무역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며 "지금까지 씨름을 잘해왔던 선수라도 당장 수영을 해서 경쟁하라고 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으니 수출 주도형 경제를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경제 연대, 해외 투자와 소프트파워 등 대체 모델, 해외 시민 유입 등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지금 (세계 경제) 룰을 결정하는 것은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유럽연합(EU) 정도이고 우리는 그 룰을 테이크(수용)해야 하는 입장"이라며 "대한민국 혼자 국제 질서나 룰을 바꿀만한 힘은 부족하기 때문에 같이 연대할 수 있는 파트너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 투자와 소프트웨어 등 기존 수출을 대체할 모델에 대해서는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안에 대한민국의 포션(투자 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투자 다각화를 강조했다.
또, 최 회장은 "저출생 노령화로 내수를 더 늘리기는 쉽지 않은 만큼 해외 시민을 유입해 단순 관광 정도가 아니라 장기 거주해 국내에서 일도 하고 세금도 내고 소비도 늘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AI 패권 전쟁에 대한 전략도 제시했다. 최 회장은 "무엇보다 AI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에 대한 컨센서스, 즉 국가차원의 전략이 중요하다"며 "AI의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모든 것을 다 잘 하겠다'가 아니라 그 중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부문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경제정책은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분할 것이냐가 핵심이고, 외부 변화에 대응하려면 자원을 새롭게 배분해야 한다"며 "대한민국 경제도 변화에 맞게 자원배분이 빠르게 진행돼야 하며 모든 것을 법으로 해결하는 것보다 모든 경제주체가 토의와 컨센서스로 속도감 있게 돌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김현호 기자
jojolove781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