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4050억원 이어 신한·우리·DGB도 이사회 결의영구채지만 5년 뒤 조기상환 가능···자본비율 개선후순위채보다 높은 금리에 수익성 위축 우려도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오는 22일 405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를 발행한다. 지난해 말 신한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는 각각 2700억원, DGB금융지주는 100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 발행을 결의했다.
신종자본증권인 코코본드는 은행의 자본 건전성 악화 등 특정한 사유 발생 시 주식으로 변환되거나 상각되는 채권을 뜻한다. 코코본드는 채권이지만 자본으로 인정돼 BIS 자기자본비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주요 금융지주들의 잇단 코코본드 발행은 5년 전 대규모로 발행했던 채권 물량을 차환하기 위해서다. 코코본드는 영구채이지만 5년 중도상환 옵션이 있고, 옵션도래일 이후 금융감독원장의 승인을 얻어 중도상환할 수 있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융지주들은 안정적인 자본확충을 위해 코코본드를 적극적으로 발행해 왔다. NH투자증권이 조사한 결과 지난 2019년 2조5200억원 규모였던 코코본드 발행액은 2020년 4조1500억원으로 폭증했고, 2022년과 지난해에도 4조원을 훌쩍 넘겼다.
이에 따라 올해 첫 번째 중도상환 기일이 도래하는 코코본드 규모는 약 3조8400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2조4700억원) 대비 1조4000억원이나 증가한 수치다.
코코본드의 발행 금리는 4% 안팎으로, 은행들이 자본 확충을 위해 주로 발행하는 후순위채권보다 높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 국채금리 급등이 국내 채권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금융지주들은 조기상환 기일에 맞춰 서둘러 차환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을 중심으로 RWA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코코본드 발행의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국내 주요 금융지주 8개사의 합산 RWA는 지난 2020년 1242조원으로, 지난 5년간 매년 증가세를 이어왔다. 2021년 1275조원, 2022년 1359조원, 2023년 1452조원에 이어 지난해(9월 기준)엔 1548조원으로 불어났다.
은행을 거느린 금융지주들은 올해도 RWA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난해 말부터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치솟으면서 외화자산의 원화 환산금액도 늘어나고 있어서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국내 탄핵정국 등으로 당분간 원·달러 환율은 1400원 밑으로 떨어지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투자업계는 올해 금융지주들의 코코본드 발행이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RWA 증가에 따른 자본비율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고금리의 코코본드 발행 카드를 꺼내들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코코본드는 금융지주의 자본비율이 감독기준을 밑돌 경우 이자지급이 중단된다. 또한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 채권이 상각되고, 조기상환 기일이 도래하더라도 상환되지 않을 수 있다.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의 기본자본비율은 규제기준(10.5%)을 웃돌고 있지만 고환율 리스크는 여전한 상황이다.
코코본드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금융지주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우려도 있다. 지난해 10월 DGB금융이 발행한 코코본드의 금리는 4.20%에 달했고, KB·신한·하나·우리금융도 4% 금리에 자본을 조달했다.
다만 금융지주들의 안정적인 자본 여력과 수익성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리스크는 현실화되지 않을 것이란 평가가 우세하다.
최성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꾸준하게 투자 수요를 확보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금융지주들은 경제적 실익부터 평판리스크 관리에 무게를 둘 것으로 판단한다"며 "금융지주의 펀더멘털과 평판리스크 우선을 고려할 때 이자지급 중단, 채권 상각 등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분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5년 만기 콜옵션 행사를 조건으로 발행되는 코코본드는 자본으로 인정돼 자본비율을 높일 수 있지만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다"며 "조기상환 도래 물량과 미국의 국채금리 상승이 금융지주들의 적극적인 코코본드 발행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후순위채는 코코본드보다 발행하기 더 쉽지만 현금보유량만 늘고 자본비율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하지만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했을 때 코코본드 발행만 늘릴 수 없기 때문에 금융지주별로 자본 상황에 맞는 채권 발행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