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16일 수요일

  • 서울 14℃

  • 인천 16℃

  • 백령 10℃

  • 춘천 12℃

  • 강릉 20℃

  • 청주 17℃

  • 수원 16℃

  • 안동 15℃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7℃

  • 전주 22℃

  • 광주 19℃

  • 목포 19℃

  • 여수 17℃

  • 대구 17℃

  • 울산 17℃

  • 창원 18℃

  • 부산 18℃

  • 제주 20℃

금융 대선 정국 본격화···산업은행 부산 이전 논의 다시 뜨거워진다

금융 금융일반

대선 정국 본격화···산업은행 부산 이전 논의 다시 뜨거워진다

등록 2025.04.15 15:53

이지숙

  기자

공유

한동훈·안철수·김두관 줄줄이 "산업은행 부산 이전" 주장산업은행 퇴사자 급증···노조 "15조원 국가 손실 유발""부산 이전 이슈 재발에 경계태세···상급단체와 연대 계획"

[DB KDB산업은행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DB KDB산업은행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한동안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던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논의가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대선 국면에 들어서며 여야 각 후보들이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을 꺼내들고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동력을 잃어 안심하던 내부 직원들은 각 후보들이 공약 발표로 불안감이 높아진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대선 공약으로 내건 뒤 2022년 5월 국정과제로 채택했다. 단 이 과정에서 필수적인 산업은행법 개정이 '여소야대' 국회에 가로막혀 속도를 내지 못했다. 산업은행법은 산업은행의 본점 소재지를 '서울특별시'로 규정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금까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하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출마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14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공약 발표회를 열고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성공시키겠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부산은 산업은행 이전과 해외 금융사 유치를 통해 해양금융의 중심이 돼야 한다"면서 "울산과 거제는 친환경 조선 해양 플랜트 산업단지, 창원과 사천에는 방산 항공 우주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지난 11일 저녁 부산에서 도보 유세를 펼치며 "부산의 여러 현안으로는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산업은행 이전 등이 있다"면서 "국민의힘과 저는 이 모든 이슈에 대해 강력하게 지지해왔고 반드시 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는 지난해에도 재보궐선거가 열리는 부산 금정구를 찾아 산업은행 이전을 성공시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조기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더불어민주당이 적극적으로 산은 이전을 추진하지 못했다며 직접 사과하기도 했다. 김 전 의원은 "우리 당에서 적극적으로 산은 이전을 추진하지 못한 점에 대해 부울경 시도민들에게 사죄드리며 새 정부에선 문현금융단지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력한 대선주자로 꼽히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부산 방문 당시 박형준 부산시장과 대화에서 산업은행 이전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대선 후보들이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꺼내며 산업은행 노조도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산업은행 노조는 부산 이전을 꾸준히 반대해왔다.

특히 윤석열 정부 출범과 부산 이전 이슈가 본격화되며 산업은행 퇴사자도 급증했다. 2021년 46명에 그쳤던 퇴사자는 2022년 98명, 2023명 87명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부산 이전 동력이 약해지며 퇴사자 수는 51명으로 줄어든 상태다.

산업은행 노조가 의뢰해 한국재무학회가 산업은행 부산 이전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진행한 결과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15조원이 넘는 국가 손실을 유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최근 부산 이전보다 산업은행 본연의 업무인 첨단산업 지원 등에 좀 더 집중하는 모습이었는데 다시 부산 이야기가 나오며 경계태세를 갖추고 있다"면서 "금융노조나 한국노총 등 상급단체 위주로 연대하면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