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 서울

  • 인천 23℃

  • 백령 14℃

  • 춘천 27℃

  • 강릉 28℃

  • 청주 27℃

  • 수원 24℃

  • 안동 29℃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7℃

  • 전주 28℃

  • 광주 24℃

  • 목포 24℃

  • 여수 20℃

  • 대구 27℃

  • 울산 25℃

  • 창원 23℃

  • 부산 21℃

  • 제주 20℃

산업 자회사 빚 갚는 아시아나항공···통합 항공사 도약 '마지막 열쇠'

산업 항공·해운

자회사 빚 갚는 아시아나항공···통합 항공사 도약 '마지막 열쇠'

등록 2025.05.14 14:12

김다정

  기자

공유

'통합 LCC' 출범 시동···아시아나항공, 자회사 자금 지원 나서통합 전 독자생존 과제···'부채비율 1240%' 아시아나항공 총대

아시아나항공이 곳간을 풀어 자회사 빚 탕감에 나섰다. 그래픽=박혜수 기자아시아나항공이 곳간을 풀어 자회사 빚 탕감에 나섰다. 그래픽=박혜수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곳간을 풀어 자회사 빚 탕감에 나섰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오는 2026년 통합 LCC(저비용항공사) 출범을 앞두고 재무구조 개선의 신호탄을 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에 따라 자회사인 진에어와 에어서울·에어부산도 이르면 내년 12월 통합 LCC 출범을 앞두고 있다.

자회사 통합을 앞두고 아시아나항공은 에어서울·에어부산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총 28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에어부산이 발행하는 영구 전환사채(CB) 1000억원 전액을 취득하고, 1800억원 규모 에어서울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양사 통합 이후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자본 잠식 상태에 허덕이는 이들 자회사의 재무 안정화를 선결과제로 지목해왔다.

특히 에어서울의 경우 2019년부터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는 상태다. 결국 국토교통부가 2023년 5월 에어서울에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내려 면허 취소 위기까지 몰렸다.

항공사업법상 국토부는 항공사가 50% 이상의 자본잠식률이 1년 이상 지속되거나 완전 자본잠식이 된 경우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할 수 있다. 항공사가 이에 따르지 않으면 면허를 취소할 수 있다.

에어부산은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진 않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쌓인 결손금이 부채비율을 높이는 실정이다. 지난해 말 기준 결손금은 2800억원 수준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대한항공과 진에어가 자금 지원이나 지분 인수 등을 통해 재무 건전성 회복에 나설 것이라는 시각도 있었지만, 결국 모회사인 아시아나항공이 총대를 멨다.

아시아나항공은 "국토부의 재무구조 개선 명령을 이행하기 위해 자본을 확충하고 안정적인 사업 지속 차원에서 에어서울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며 "에어부산의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신규 영구전환사채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제 LCC를 포함한 '통합 대한항공' 출범의 마지막 열쇠는 아시아나항공이 쥐고 있다. 과연 아시아나항공이 본격적인 메가 캐리어 출범에 앞서 어느 정도 재무 건전성을 관리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최근 아시아나항공이 자회사 빚 탕감에 두 팔을 벗고 나섰지만 현재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상황도 녹록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연결기준 순손실 4130억원을 기록하며 결손금 규모를 8622억원에서 1조4627억원으로 더욱 키웠다. 부채비율은 1240.8%에 달했다. 자본 규모 대비 12배가 넘는 빚을 짊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아시아나항공의 차입 부담도 적지 않다. 1년 안에 상환해야 하는 단기차입금은 1조3800억원이지만, 현재 보유 중인 현금성자산(금융자산 포함)은 이보다 적은 1조2681억원이다.

이에 따른 부담은 대한항공에 고스란히 전해질 수 있다. 이미 대한항공은 과도한 부채에 몸살을 앓던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면서 1조8000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대한항공이 탄탄한 실적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하더라도 향후 안정적인 경영 활동과 시너지 창출을 위해서라도 통합 이전까지 아시아나항공 자체적으로도 재무정상화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