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손보, 8월 1일부터 예정이율 인하 확정 세부안 미정···메리츠화재·KB손보도 검토 중기준금리 인하 영향···보험료 5~15%↑ 전망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내달 중으로 예정이율 인하를 확정하거나 검토하고 있다.
가장 먼저 출발점을 끊은 곳은 DB손보다. 다음 달 1일부터 예정이율을 인하할 계획이며, 현재 인하 폭과 적용 상품 범위 등을 조율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도 최근 영업채널별 논의에서 오는 8월부터 예정이율을 인하 또는 동결하는 방안을 언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종 조정 폭은 DB손보와 마찬가지로 타사 추이를 지켜본 뒤 확정할 방침이다.
KB손보도 오는 8월 예정이율 인하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인하 폭과 대상 상품,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
이번 손보사들의 예정이율 인하 검토는 지난 5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75%에서 2.50%로 0.25%포인트(p) 인하한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역마진을 우려한 일부 회사들이 선제적으로 예정이율 하향 조정에 나선 것이다.
예정이율이란 보험사가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를 가지고 보험금 지급 때까지의 운용을 통해 거둘 수 있는 수익률을 의미한다. 보험사는 이를 바탕으로 상품을 설계하고 보험료를 산출한다. 예정이율이 낮아질수록 보험사가 거둘 수 있는 이자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보험사들은 손실을 보전하고자 보험가입자가 부담하는 보험료를 올릴 수밖에 없다.
실제 저금리 기조가 한창이던 2020년 생보사들은 기준금리에 맞춰 단계적으로 예정이율을 끌어내리며 보험료 인상을 단행했다. 당시 이에 주로 종신보험, 연금보험 등 장기 저축성·보장성 상품군을 중심으로 예정이율이 0.25%씩 인하할 때마다 5~15% 규모의 보험료 인상이 지속됐다.
한국보험계리사회 관계자는 "예정이율 변경에 대한 민감도는 연금보험 등 장기 저축성보험이 가장 크고 이후 종신보험 등의 종신형 보장성 상품, 순수 보장성 상품 순으로 나타난다"며 "이번 예정이율 인하도 유사한 양상의 영향이 일부 상품에 나타날 수 있으나, 상품 구조와 보장 범위, 위험률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보험료 변화 폭은 상이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하반기 손보사들의 예정이율 인화가 예고됐던 상황"이라며 "DB손보가 선제적으로 인하를 결정하면서 타 손보사들도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명재 기자
emzy0506@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