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강경 대응 기조에 건설업계 긴장 고조사망사고 발생한 DL건설은 전 임원 일괄 사표DL이앤씨도 80여개 현장 공사 일시 중단 결정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는 이날 전국 80여 개 현장의 공사를 멈추고 안전 작업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각 현장은 전종필 최고안전책임자(CSO)의 승인을 받아야만 공사를 재개할 수 있다.
이번 조치는 계열사인 DL건설 현장에서 사망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 8일 경기 의정부시 DL건설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가 약 6층 높이에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아파트 외벽에 설치된 추락 방지용 그물망을 철거하던 중 일어난 사고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지난 9일 모든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앞으로 모든 산재 사망사고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통령에게 직보하라고 지시했다"며 "국정상황실을 통해 공유 및 전파하는 현 체계는 유지하되, 대통령에게 조금 더 빠르게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라고 했다"고 전했다.
DL건설의 사고를 계기로 정부가 산재 대응 수위를 높이기로 결정한 만큼 DL이앤씨도 전 현장의 안전 관리에 고삐를 죄는 것으로 풀이된다. DL이앤씨와 별개로 DL건설도 전국 현장 40여 곳의 공사를 중단한 상태다.
DL건설은 이날 강윤호 대표이사와 하정민 최고안전책임자(CSO)를 비롯한 임원, 팀장, 현장소장 전원이 사표를 제출했다. DL건설 측은 "사고 직후 모든 현장의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전사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해 안전이 확실하게 확인되기 전까지는 작업 중지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포스코이앤씨도 지난 4일 고속도로 연장 공사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의식불명에 빠지자, 이튿날 정희민 사장이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한 바 있다.
정부가 포스코이앤씨를 겨냥해 초강경 대응에 돌입한 데 이어 DL건설의 사고까지 주시하면서, 건설 업계의 긴장감은 더 높아지고 있다. 올해 잇따라 산재를 일으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이 대통령이 건설 면허 취소(등록 말소), 공공 공사 입찰 제한 등을 거론한 이후 국토부 등 각 부처는 적용 가능한 법률을 검토하는 한편 공공입찰 제도 개선 방안도 들여다보고 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jhchul3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