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기회로| 파이팅 KOREA 반도체로 이겨낸 SK그룹, 리밸런싱 실기없다 올해는 전 산업, 전 세계 업계가 모두 뒤숭숭한 분위기에 휩싸였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부터 한국 내 제도 재정립까지 불확실성이 겹쳤다. 모래 위에 집을 지으면 곧 무너지듯 국내 주요 기업들의 실적도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다만 국내 기업 중 SK그룹의 SK하이닉스만 이러한 기조 속에서도 승승장구하고 있다. HBM 왕좌를 거머쥔 데 이어 내년에도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것이라는 예견도 지배적이다. 덕분에 SK그룹은
위기를 기회로 | 파이팅 KOREA '100년 기업' 꿈꾸는 미래에셋그룹, 박현주의 통찰로 이끄는 성장 미래에셋그룹이 창립 28년 만에 고객자산 1000조원을 돌파했다. 박현주 회장의 선구안과 혁신 투자 전략, 전문경영인 체제 도입을 바탕으로 국내 금융 최초 기록들을 세웠다. 해외 시장 공략과 실적 호조에 힘입어, 미래에셋은 100년 기업을 향한 도약을 이어가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 파이팅 Korea 현대차그룹, '글로벌 톱2' 도약···하반기 생존공식 이어간다 "그 어느 때보다 이순신 장군의 정신과 행동, 리더십이 절실합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신년사 中) '2년 연속 700만대 고지·미국 판매 신기록' 등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썼던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가장 먼저 '위기'라는 말을 꺼냈다. '위기'라는 단어를 14번이나 언급한 메시지를 보면 현대차그룹 전반에 퍼진 위기론을 가늠케 한다. 위기의 순간, 정 회장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소환하며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위기
위기를 기회로 | 파이팅 KOREA '비핵심 정리·해외 확장'··· 롯데, 사업구조 전면 재편 돌입 롯데그룹은 주력 산업 부진과 신용등급 하락에도 불구하고 사업구조 재편과 글로벌 시장 확대로 위기 대응에 나섰다. 베트남·미국 등 신흥시장에서 성과를 내는 한편, 비핵심 자산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을 바이오·수소·이차전지 등 미래 신사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 파이팅 Korea 신의한수 된 KT AICT 전략···국가대표 'AX기업' 발돋움 KT가 전통 통신 사업에서 벗어나 AICT(인공지능+ICT) 기업으로 본격 전환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AI 모델 '믿:음'과 마이크로소프트, 팔란티어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으로 산업별 한국형 AI를 개발, 공공 및 민간 시장을 선점하며 6G 시맨틱 통신 등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 파이팅 Korea 파운드리로 울었던 삼성전자···하반기 턴어라운드 본격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던 삼성전자가 최근 연이은 수주 랠리로 하반기 턴어라운드 조짐을 보이고 있다. '큰 손' 미국 테슬라와 애플 등 초대형 고객사를 확보하면서 아픈 손가락으로 불리던 파운드리·시스템LSI 사업의 반등 가능성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삼성은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중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글로벌 경기침체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 파운드리 사업에서 연간 수조원대 손실을
위기를 기회로 | 파이팅 Korea '바닥 친' 韓경제···리스크 해소에 순풍 예고 한국 경제가 반도체 등 전략산업 수출 호조와 이재명 정부 출범에 힘입어 반등의 신호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한 관세 완화, 대규모 글로벌 기업 투자, 그리고 20년 만의 APEC 정상회의 개최로 대외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성장률 전망도 상승세를 보인다. 하반기 경제 정상화와 장기 성장 기반 마련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