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일반
[책무구조도 무용론]"사후 제재만으론 한계···CEO 책임 강화 시급"
올해 들어 은행권에서 토스뱅크 횡령, IBK기업은행·NH농협은행 불법 대출 등 대형 금융사고가 연달아 발생했다. 책임 구조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내부통제와 예방 효과는 미흡하다는 평가다. 전문가는 CEO 책임 강화와 조직문화 개선, 외부 감시 확대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총 65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책무구조도 무용론]"사후 제재만으론 한계···CEO 책임 강화 시급"
올해 들어 은행권에서 토스뱅크 횡령, IBK기업은행·NH농협은행 불법 대출 등 대형 금융사고가 연달아 발생했다. 책임 구조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내부통제와 예방 효과는 미흡하다는 평가다. 전문가는 CEO 책임 강화와 조직문화 개선, 외부 감시 확대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은행
[책무구조도 무용론]정식 도입 6개월···은행 금융사고 "백약이 무효"
책무구조도 시행 6개월이 지났지만 은행권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상반기 공시된 사고만 16건, 1790억 원에 달하며, 국민은행과 토스뱅크에 책무구조도 적용 여부가 주목된다. 이재명 정부는 금융사 책임자에 대한 엄정처벌 방침을 강조했다.
은행
기업은행, 쇄신위 가동에도 또 40억여원 부당대출 적발
IBK기업은행에서 경기도 소재 한 지점 직원 7명이 기업에 40억원 이상을 부당대출한 사실이 내부 감사로 적발됐다. 은행 측은 관련 직원들을 대기발령하고 금융감독원에 사고 내역을 보고했다. 앞서 3월에도 유사한 대형 금융사고가 발생해 쇄신위원회가 출범했으나, 재발 방지 대책이 무색해졌다.
은행
토스뱅크서 20억원대 횡령사고 발생···경찰 수사 착수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에서 20억원대의 횡령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토스뱅크 재무부서 팀장 A씨는 지난 13일 약 20억원의 회사 자금을 빼돌렸다. A씨는 다른 직원들의 접근 권한을 활용해 회사 법인계좌에서 자금을 빼낸 것으로 전해졌다. 토스뱅크는 이튿날인 14일 내부 점검 과정에서 이상 거래를 인지한 뒤 즉시 A씨의 행방을 추적했다. 토스뱅크는 해당 사실을 금융당국에 즉시 보고했으며, 경찰도 수사에 착수했다
은행
책무구조도 무용지물?...5대 은행 올해만 금융사고 '857억'
5대 은행들이 내부통제 강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금융사고로 인한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에만 13건의 사고로 857억99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하나은행이 다수의 사건과 가장 큰 손실을 기록했다. 금융사고 건수는 줄었지만 피해 금액은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했다.
은행
하나은행, 74억원 규모 부당대출 발생···금감원, 수시검사 착수
하나은행에서 74억원대 부당대출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하나은행은 23일 부당대출, 사적금전대차, 금품수수 등으로 74억7070만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홈페이지에 공시했다. 금융사고 금액은 현재 미확정이며 손실 예상금액도 사고 금액과 동일하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직원 A씨는 지난 2021년 10월 12일부터 2024년 12월 26일까지 대출 취급 과정에서 여신 거래처와 관련인으로부터 허위 서류 등을 받고 대출을 과도하게 내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A씨
은행
"내부통제 강화했는데"···올해도 100억원대 금융사고 수두룩
금융권이 내부통제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섰으나 올해도 시중은행에서 914억 원 이상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하나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등에서 100억 원 이상의 사건이 보고됐으며, 외부 사기 및 배임 등이 주요 사고 유형이다. 금융사고 예방에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은행
하나은행, 350억원 금융사고 발생···99.5% 회수조치 완료
하나은행에서 외부인에 의한 350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은행은 허위 서류를 통해 이루어진 사기를 밝혀내고, 담보물 매각으로 99.5%의 회수 조치를 완료했다.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번 사건을 통해 체계적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금융일반
금감원, 신한금융·신한은행 정기검사 착수···내부통제 전방위 점검
금융감독원이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에 대해 2년 만에 정기검사에 착수한다. 최근 은행권의 잇따른 부당대출사고로 인해 검사 일정이 앞당겨졌으며, 부당대출 및 금품수수 사건을 중심으로 내부통제 체계와 CEO 승계 절차 등 전반적인 지배구조 운영 실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은행
금융사고에 관세폭탄까지···은행 CRO의 '달라진 위상'
은행권 위험관리책임자(CRO)의 역할이 실무 총괄 관리에서 은행 경영 전반을 떠받치는 핵심 방파제로 격상되고 있다. 잇단 금융사고에 미국발 관세폭탄까지 터지면서 위험관리 역량이 생존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가 됐기 때문이다. 은행권 전반에 보수적 여신 운용과 철저한 리스크 통제 기조가 강화되며 CRO에 더욱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지난 4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대통령 파면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자 주요 금융지주는 긴급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