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3일 목요일

  • 서울 14℃

  • 인천 12℃

  • 백령 8℃

  • 춘천 16℃

  • 강릉 10℃

  • 청주 15℃

  • 수원 12℃

  • 안동 14℃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16℃

  • 전주 14℃

  • 광주 14℃

  • 목포 10℃

  • 여수 13℃

  • 대구 15℃

  • 울산 11℃

  • 창원 13℃

  • 부산 12℃

  • 제주 11℃

급식 검색결과

[총 6건 검색]

상세검색

우리나라 재벌들은 급식으로 뭘 먹었을까?

숏폼

[저스트원미닛]우리나라 재벌들은 급식으로 뭘 먹었을까?

우리나라 재벌들이 다녔던 명문 학교에서는 어떤 급식이 나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과 배우 고현정 사이에서 태어난 정해윤은 그로튼 스쿨을 졸업했는데요. 미국의 최상위권 기숙학교인 이곳의 1년 학비는 한화로 무려 9000만원에 달합니다. 급식 메뉴는 스테이크부터 김치까지 다양하게 나옵니다. 특히 디저트에 진심이기에, 국제 핫초코의 날인 1월 31일에는 학생들이 핫초코에 쿠키와 계피 등 다양한 토핑을 골라 넣을 수 있게 했

한화 3남 김동선, 아워홈 인수 추진설 배경은

식음료

한화 3남 김동선, 아워홈 인수 추진설 배경은

한화그룹이 범LG가로 분류되는 단체급식 업체 아워홈 경영권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아워홈 인수 검토 주체로 알려진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20일 "다양한 부문의 사업을 검토 중이기는 하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삼남 중 셋째 아들인 김동선 부사장이 경영을 도맡고 있다. 인수 대상은 알려진 아워홈 지분은 오너가 장남인 구본성 전 부회

국군 장병들이 ‘선호하는 반찬 vs 남기는 반찬’

[카드뉴스]국군 장병들이 ‘선호하는 반찬 vs 남기는 반찬’

가끔 군대에서 먹었던 밥 일명 ‘짬밥’이 생각나지만, 그렇다고 다시 군대에 가고 싶지는 않은 마음. 군필자라면 모두 공감하실 텐데요. 현재 국방의 의무를 지고 있는 장병들이 선호하는 급식 메뉴는 무엇일까요? 국방부가 발표한 ‘급식 빅데이터 시범사업’ 분석 결과를 통해 살펴봤습니다. 우선 조사 기간 동안 장병들에게 제공된 급식 메뉴는 모두 203개로 집계됐는데요. 그중에서도 잔반이 거의 없는 인기 메뉴는 김자반, 단호박튀김, 두부계란찜,

내일도 2600개교 급식 중단···학생들 빵·도시락으로 식사

내일도 2600개교 급식 중단···학생들 빵·도시락으로 식사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 이틀째인 4일에도 전국 2600여개 학교의 급식이 중단된다. 3일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전국 1만454개 학교 중 2581개(24.7%) 학교가 급식을 중단한다. 파업 첫 날인 3일에는 전국 1만438개 학교 중 2802개(26.8%)가 급식을 제공하지 않았다. 급식을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학교는 6891곳에서 7873곳으로 982곳 늘어날 예정이다. 급식을 중단하는 학교 중 1339곳은 학생들에게 빵과 우유를 제공한다. 다른 482곳은 개별적으로 도시락을 지참토록

SK행복나눔재단, 결식아동 급식 문제 해결에 앞장

SK행복나눔재단, 결식아동 급식 문제 해결에 앞장

SK행복나눔재단이 성동구청에서 정원오 성동구청장, 변창흠 SH공사 사장, 김용갑 SK행복나눔재단 사회적기업 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동구 결식아동 급식 영양문제 해결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SK행복나눔재단·성동구·SH공사는 아동급식 개선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적극 지원하기로 뜻을 모았다. SK행복나눔재단은 사회적기업 ‘행복도시락’의 운영 전문성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성동구내 거점 도시락센터의 설립과 운

초등학생의 현실적 시 “도저히 반박할 수 없다”

초등학생의 현실적 시 “도저히 반박할 수 없다”

초등학생의 현실적 시가 누리꾼들에게 미소를 선사했다. 최근 각종 온라인 게시판에는 초등학생의 현실적 시라는 제목의 사진한장이 게재됐다. 공개된 사진속에는 초등학생이 쓴 것으로 보이는 시와 그림이 그려져 있다. 그런데 이 시의 내용이 너무나도 현실적이어서 보는 이들이 고개를 끄덕일 정도다. 시를 쓴 초등학생은 “급식소 아주머니 께서는”이라고 운을 뗐다. 그다음 구절은 “항상 많이 먹으라고 하신다”, 마지막 구절은 “많이 줘야 많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