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장기화냐 반전이냐···개성공단 운명은 어디로

장기화냐 반전이냐···개성공단 운명은 어디로

등록 2013.07.29 08:55

이창희

  기자

공유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북한 측에 개성공단 정상화와 관련한 ‘마지막 회담’을 제의한 데 대한 북한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여섯 차례의 실무회담에서 결국 합의문을 내놓지 못해 암울한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막판 회담의 성사와 이를 통해 상황이 급반전될 여지는 미미한 상황이다.

류 장관은 28일 성명을 통해 “북한은 지금이라도 재발방지에 대한 명확한 답을 해주기 바란다”며 “마지막으로 이에 대해 논의할 회담을 제안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 1~6차 실무회담 과정에서 조금도 좁혀지지 않는 양측 입장을 절감하면서 남북대화를 정리하는 수순으로 갈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날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과 만난 류 장관이 “북한은 회담 막판에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여건이 조성되면 문을 다시 닫을 수도 있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했다”며 “이번에 재가동이 된다 하더라도 이번과 같은 사태가 또 벌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하는 것을 우리에게 분명히 밝혔다”고 말한 것도 이를 방증한다.

더구나 류 장관이 제의한 ‘마지막 회담’에 북한이 응할지부터가 의문이다. 북측은 판문점 채널을 통해 차기 회담 일정을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기는 했지만 우리 측 입장 철회를 전제로 내세우고 있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 등 주변국들의 외교적 압박이 크지 않다는 것도 이 같은 상황을 부채질하고 있다.

류 장관이 회담 제의와 함께 밝혔던 ‘인도적 지원’ 역시 일종의 ‘당근’이라기보단 박근혜 정부의 원칙을 지키겠다는 대외적 메시지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이창희 기자 allnewguy@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