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홍원 국무총리 사퇴 공감
내각 전면 교체 주장은 세월호 침몰 사건 이후 민낯을 드러낸 정부의 재난위기 관리대응 시스템의 부재에 따른 것이다.
일부 장관들의 부적절한 처신 또한 전면 개각의 당위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야권에 이어 여당도 동조하는 움직임이 나오면서 시기가 문제일 뿐 전면 개각은 피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우선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정홍원 국무총리의 사퇴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여기에 주무부처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질론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무능함을 보여준 정홍원 총리와 강병규 안행부 장관, 이주영 해수부 장관은 반드시 잘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여당에서는 강병규 장관과 이주영 장관이 임명된 지 한달 조금 넘었다는 점에서 경질 여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세월호 침몰 참사로 희생된 학생의 수는 6.25전쟁 때보다 가장 많은 것”이라며 “누구도 생각할 수 없는 상상을 초월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임명된지 한달됐다고 해서 (경질을)망설이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정홍원 총리에 이어 강병규 장관, 이주영 장관에 대한 경질 주장이 확산되면서 자연스럽게 전면 개각도 힘을 받고 있는 모양새다.
게다가 성난민심을 달래고 책임지는 차원에서라도 국무위원 전원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일괄 사표를 제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사상 초유의 사건을 접하면서 장관들의 대응 행태는 평균 수준 이하였다”면서 “총리를 포함해 장관 모두 사퇴 의지를 표명해야 하고 전면 개각해 정부의 다짐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부처 공무원들도 장관들의 사표 제출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분위기다.
세종청사 한 부처의 고위공무원은 “장관 모두 사표를 제출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만약 이렇게 되면 사실상 정부가 2기 내각에 준하는 조각을 하게 되는 만큼 대대적 장관 물갈이는 불가피 할 전망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번에 개각을 아주 세게 해야 한다. 단순 해임이 아니고 파면 수준으로 책임소재를 당연히 가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상은 기자 cse@

뉴스웨이 조상은 기자
cs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