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임차 수요 부진과 부동산시장 반등 기대감 겹쳐
국토교통부는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조사’를 발표하고 2분기 오피스 건물의 투자수익률은 전 분기보다 0.14%포인트 오른 1.59%를, 매장용 건물(상가)은 0.16%포인트 오른 1.66%를 각각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투자수익률을 세분해서 살펴보면 오피스 건물과 매장용 건물의 소득수익률은 전 분기보다 각각 0.02%포인트, 0.01%포인트 하락했으나 자본수익률은 각각 0.16%포인트, 0.17%포인트 상승했다.
임대료 수입에 따른 소득수익률에 건물의 자산가치 상승에 따른 자본수익률을 보태면 투자수익률을 구할 수 있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연간 투자수익률은 오피스 건물이 5.63%, 매장용 건물이 5.65%로 같은 기간 채권(국고채 2.88%·회사채 3.30%)이나 금융상품(정기예금 2.60%)보다 높았다.
지역별 투자수익률은 오피스 건물이 부산(1.90%), 경북(1.84%), 서울(1.76%) 등이 높았고 광주(0.37%)가 가장 낮았다. 매장용 건물은 울산(2.00%), 부산(1.95%), 대구(1.95%) 등에서 투자수익률이 높았으나 전남(1.13%)의 수익률이 가장 저조했다.
2분기 공실률은 오피스 건물이 12.2%, 매장용 건물이 10.5%로 전 분기보다 각각 1.1%포인트, 0.2%포인트 상승했다.
오피스 건물은 공급과잉으로 공실률이 증가했으며 매장용 건물은 대부분 임대계약 만료, 임차인 변경 등에 따라 일시적 공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분기 임대료는 오피스 건물이 ㎡당 1만4800원으로 보합세를 보였고 매장용 건물은 전 분기보다 ㎡당 200원 상승한 3만1600원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 매장용 건물(6만200원)은 전반적인 경기 침체에도 강남대로 상권에 대기업 ‘안테나 매장’(수익보다 홍보를 겨냥해 차린 매장)이 입주하고 가로수길·홍대·합정 상권이 활성화되면서 ㎡당 400원 올라 6만 원을 넘어섰다.
2013년 1분기 시장임대료(해당 시점의 시장 가격으로 환산한 임대료)를 100으로 잡아 산정하는 임대가격지수는 오피스 건물은 0.2% 하락한 99.8, 매장용 건물은 전 분기와 똑같은 100.7을 기록했다.
자세한 내용은 국토부 국토교통통계누리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에서 볼 수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 6층 이상, 임대 면적 50% 이상인 업무용 건물 824동과 3층 이상 임대 면적 50% 이상인 매장용 건물 2331동 등 총 3155동을 표본으로 삼아 진행됐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sd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