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부터 꾸준히 성장성장폭 커 판매 비중도 크게 올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4일까지 A대형마트의 주요 국산맥주 판매는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카스(-1.6%)와 하이트(-7.9%) 그리고 클라우드(-8.6%) 등의 매출이 모두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A대형마트의 수입맥주는 매출 성장률이 22.2%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성장률을 보면 7월 31.0%, 8월 17.4%, 9월 15.7%, 10월 21.2%, 11월 -0.4%, 12월 24.2% 등으로 11월 제외한 모든 기간 동안 두 자릿수 성장세를 올렸다.
카스와 하이트 클라우드 등이 7월부터 이달 중순까지 역신장을 기록한 것과 확연히 대조되는 부분이다.
이 대형마트는 이런 추세를 고려해 작년 1월 319종이던 수입맥주 종류를 이달 들어 357종까지 늘렸다.
이와 함께 수입맥주의 성장이 이어지면서 수입맥주 점유율도 확대되고 있다. A대형마트에서 수입맥주의 판매 비중은 지난해 7월 36.7%, 8월 39.1%, 9월 37.2%, 10월 36.5%, 11월 42.5%, 12월 43.2%였다. 즉 지속적으로 비중이 늘고 있는 셈이다.
B대형마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달 1∼14일 카스(-7.0%), 하이트(-8.9%), 클라우드(-9.2%)의 매출은 줄었으나 수입맥주는 4.3% 성장했다.
이는 음식점이나 유흥업소와 달리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맥주가 주로 가정용이라는 점에서 맥주 소비자 선호가 점차 수입맥주로 기우는 추세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신고가격 이외에 구체적인 유통가격이 잘 드러나지 않는 수입맥주들이 최근 할인 판매 공세를 이어가는 점도 수입맥주 성장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황재용 기자 hsoul38@

뉴스웨이 황재용 기자
hsoul3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