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은 ‘경력에 도움’, 중장년층은 ‘직업 전환’ 교육 선호청년 ‘급여·복리후생’, 중장년 ‘고용안정성’ 우선 고려
22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협력센터)는 채용포털 파인드잡과 함께 20세 이상 구직자 12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취업교육 수요와 구직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청년 구직자들은 취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은 ▲기술 분야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개발’(14.1%) ▲서비스 분야 ‘간호조무사’(16.0%) ▲사무 분야 ‘세무·회계·재무’(39.7%) 교육이라고 답했다.
반면 중장년 구직자들은 ▲기술 분야 ‘주택, 빌딩시설관리’(15.1%) ▲서비스 분야 ‘컨설턴트·강사 양성’(23.4%) ▲사무 분야 ‘OA사무자동화’(35.5%) 교육을 1순위로 선정했다.
국비지원 교육 수강경험이 있는 구직자 10명 중 6명은 ‘국비지원교육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국비지원 교육 개선을 위한 과제로 ‘취업과 연계성 강화’(56.1%)를 꼽았다.
취업교육 선택기준에 대해서는 청년은 ‘현재 경력을 쌓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59.6%), 중장년은 ‘새로운 직업으로 바꾸기 위한 교육’(33.5%)을 첫번째로 택해 교육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6명(60.6%)은 취업이 힘든 가장 큰 이유로 ‘연령이 맞지 않아서’라고 답했으며 청년 구직자는 ‘스펙이 부족해서’(31.2%)와 ‘원하는 기업의 채용공고가 없어서’(29.1%) 순으로 응답했다.
취업준비를 위한 노력사항으로 중장년은 ‘채용시장에 맞는 눈높이 조절’(30.4%)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청년은 ‘기업에서 원하는 자격증 취득’(21.4%)을 들었다.
박지영 선임연구원은 “아직도 우리나라 기업 사이에 나이와 스펙중시 채용풍조가 만연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나이보다 능력, 스펙보다 인성이나 실력을 보는 ‘능력중심 채용문화’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청년 구직자들은 취업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으로 ‘급여·복리 수준이 높은 기업’(26.0%)을 꼽았으며 ‘고용 안정성 확보’(20.3%), ‘출퇴근 편리와 주변 인프라가 잘 구축된 기업’(19.3%), ‘업무 강도가 스트레스 정도’(18.6%) 순으로 뒤를 이었다.
중장년들은 ‘고용 안정성 확보’(20.0%)가 가장 중요하다고 봤고 ‘급여·복리 수준이 높은 기업’(19.4%), ‘출퇴근 편리와 주변 인프라가 잘 구축된 기업’(19.3%), ‘업무전문성을 발휘할 기회’(18.6%) 등의 응답이 나왔다.
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4명(42.2%)은 1년 이상(‘1~2년’21.4%, ‘2년 이상’20.8%) 장기실업상태에 놓여있으며 ‘6개월~1년’(19.8%), ‘3개월~6개월’(18.2%), ‘3개월 미만’(12.1%), ‘1개월 미만’(7.7%)로 조사됐다.
청년은 1년 이상 실업자가 23.3%로 중장년의 절반수준이었고 ‘1개월 미만’(24.7%), ‘3개월~6개월’(21.5%), ‘3개월 미만’(19.3%) 등 중장년보다는 실업 상태가 짧은 것으로 분석됐다.
배명한 협력센터 소장은 “국비지원교육 다변화를 이루고 취업연계성을 높이는데 주력한다면 취업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경련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를 통해 다양한 취업처 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차재서 기자 sia0413@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