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프리미엄 제품 소비자 선호중국 정부 직접적 규제 쉽지 않을듯초호황 반도체는 물량 부족한 실정韓 규제시 자국 산업에도 영향 미쳐
특히 중국의 관영 매체인 환구시보는 삼성과 현대차의 이름을 직접 거명하며 보복을 부추기고 있다.
환구시보의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최근 “중국은 삼성과 현대에 가장 큰 시장이며 이들 기업에 대한 제재는 복잡한 결과를 가져오겠지만 한·중 갈등이 가속하고 있어 이들 기업도 조만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삼성전자로서는 중국 내 이같은 분위기가 불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직접적인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먼저 나서서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전체 매출 가운데 중국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18%(40조1000억원), 2014년 16%(33조원), 2015년 15%(31조원)을 기록했다. 감소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단일 국가로는 세계 최대 수준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전자업계는 스마트폰 등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국산 프리미엄 제품에 대해서는 중국 정부도 쉽게 수입을 막는 조치를 취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 가전 등에서는 이미 직접적인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은 지난해 말 43개 한국산 비데 양변기에 대해 품질 불량을 이유로 불합격 판정을 내린 바 있다. 또한 질검총국은 LG전자·신일 등 한국기업 공기청정기의 수입도 막았다. 중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를 확대할 경우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밖에도 중국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대대적인 불매운동이 벌어질 경우 한국산 프리미엄 제품도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다. 이 때문에 업체들이 상황을 더욱 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전자 업계에 대한 사드 보복 움직임은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없는 상황”이라며 “사드 리스크가 어떤 영향을 줄지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에 현지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는 지난해부터 초호황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중국에서도 없어서 못 파는 실정이라 중국 정부가 직접적인 제재를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이 중국에서 생산하거나 수출하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은 중국 기업이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중간재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들에 피해를 주면서까지 한국 제품의 수입을 규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다만 중국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전자부품의 경우 중국이 사드 보복의 일환으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중국 기업들이 생산하는 완제품의 가격을 올리게 되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쉽게 실행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한국산 반도체 매출 30%가량을 책임질 정도로 중요한 시장이다”라며 “중국 정부가 반도체 업계에 대한 직접적인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기업이 대응책을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
sliz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