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오전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착수한 5.18 암매장 발굴현장에서 확인되지 않은 배관 4개 줄기가 나왔다. 재단은 작업을 중단하고 해당 배관의 용도과 매설 이력 확인에 나섰다.
배관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30㎝ 깊이에서 나타났다. 암매장 추정지 부근에 자리한 교도소 관사 건물로 이어지는 상수도관 등으로 밝혀졌다.
5·18재단은 발굴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배관 존재를 파악하지 못했다. 배관은 작업자들이 암매장 흔적을 확인하고자 손으로 땅을 파기 시작한 지 약 2시간 만인 오전 10시께 흙 밖으로 드러났다.
재단은 교도소 시설 변경 기록을 통해 암매장 추정지 주변에 가스관이 최초로 매설된 1999년 무렵 해당 배관도 함께 묻힌 것으로 추정한다.
재단은 지난 4일 암매장 추정지 기초 굴착에 돌입했을 때 가스관을 피해 발굴 대상 지역을 선정했다. 당시에는 수도관 등이 묻힌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발굴은 배관 용도가 확인된 후 낮 12시 30분께 재개됐다. 해당 배관은 철거 방안이 고려된다. 배관 매설과 암매장의 관련성도 파악 중이다.
3공수 지휘관은 지난 1995년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시신 위 약 1m 높이로 흙을 덮었다’고 옛 교도소 암매장 진술했다.
5·18재단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며 “광주교도소 내 추가 의심 지역도 살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전규식 기자
cardi_ava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