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8일 화요일

  • 서울 24℃

  • 인천 21℃

  • 백령 22℃

  • 춘천 26℃

  • 강릉 25℃

  • 청주 25℃

  • 수원 22℃

  • 안동 24℃

  • 울릉도 21℃

  • 독도 21℃

  • 대전 24℃

  • 전주 23℃

  • 광주 24℃

  • 목포 22℃

  • 여수 26℃

  • 대구 29℃

  • 울산 24℃

  • 창원 26℃

  • 부산 24℃

  • 제주 20℃

금융권 인사 뒤흔드는 김승유-장하성-최종구 ‘고려대 라인’

금융권 인사 뒤흔드는 김승유-장하성-최종구 ‘고려대 라인’

등록 2017.12.05 13:50

수정 2017.12.05 16:28

정백현

  기자

김승유, 高大 인맥 내세워 인사 개입 의혹금융권 “원로가 학맥 앞세우는 일 없어야”

김승유 전 하나학원 이사장(왼쪽),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가운데), 최종구 금융위원장(오른쪽) 등 고려대학교 출신 인물들이 금융권 전반의 인사를 좌지우지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진=뉴스웨이DB김승유 전 하나학원 이사장(왼쪽),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가운데), 최종구 금융위원장(오른쪽) 등 고려대학교 출신 인물들이 금융권 전반의 인사를 좌지우지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진=뉴스웨이DB

금융권 안팎에서 고려대학교 출신 인물들이 금융권 전반의 인사를 좌지우지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 비판의 핵심에는 김승유 전 하나학원 이사장(경영학과 61학번),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경영학과 74학번), 최종구 금융위원장(무역학과 76학번)이 있다.

김승유 전 하나학원 이사장은 2005년 12월부터 2012년 초까지 하나금융지주 회장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 시절 4대 천왕으로 부릴 정도로 MB 최측근으로 알려졌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진행되는 일련의 금융권 인사에서 고려대 출신 인사들이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김승유 전 이사장이 정·관계 내의 고려대 인맥을 총동원해 금융권을 휘젓고 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문제가 바로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연임 건이다. 내년 3월에 임기가 끝나는 김정태 회장은 차기 회장에 재선임되길 희망하고 있다. 사실상 하나금융그룹 내에 김 회장 외에 특별한 경쟁자가 없는 상태지만 최근 들어서 안팎의 기류가 달라졌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11월 말 “특정 대주주가 없는 금융회사의 현직 CEO가 본인 스스로 연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게 했다면 이는 책무 유기”라고 지적한 것이 발단이었고 이 발언은 여러 방향으로 논란이 됐다.

김정태 회장의 연임 논란 외에도 KTB투자증권의 경영권 분쟁이나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의 재선 불출마 등의 문제에도 김 전 이사장이 정·관계 유력 인사들의 힘을 빌려 개입하고 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권성문 KTB투자증권 회장과 경영권 분쟁설이 돌고 있는 이병철 부회장은 김승유 사단 인물로 분류된다. 김 전 이사장은 하나금융지주 회장으로 있던 2010년 이 부회장이 대표로 있던 다올부동산신탁을 인수하면서 이 부회장도 하나금융에 입사해 부동산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이병철 부회장이 지난해 KTB투자증권 부회장으로 입사하면서 김승유 전 회장도 합류를 검토했지만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권 회장에 대한 비위 제보가 끊이지 않으면서 권 회장은 김승유 전 이사장과 이병철 부회장을 배후로 의심하고 있다.

사실 김승유-장하성-최종구 라인의 인사 개입 의혹은 한두 번 언급된 것이 아니다. 특히 올해 금융감독원장 선임 당시 김 전 이사장이 자신의 측근인 최흥식 현 원장을 장 실장에게 천거했고 장 실장의 지시를 받은 최 위원장이 최 원장을 선임했다는 이야기가 파다했다.

또 최근 취임한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의 선임 당시에도 김 전 이사장이 직접 추천서에 서명해주는 등 막후에서 실력 행사를 했다는 이야기도 들렸다. 김지완 회장은 김 전 이사장이 하나금융지주 회장이던 시절 부회장을 역임한 측근 인사 중 하나다.

이렇듯 정부 유관기관의 기관장을 넘어 민간 금융기관의 인사에 특정 학맥의 인사들이 개입한다는 이야기가 불거지자 금융권 안팎에서는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금융회사가 지녀야 할 전문성과 객관성보다 주관적 인맥이 우선시될 경우 조직 안팎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김 전 이사장 등 원로들이 자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중립을 지켜야 할 당국이 학맥과 인맥에 휘둘려 인사에 개입한다면 매우 후진적인 행태이자 또 하나의 관치 악습”이라며 “민간 금융기관이 자체적으로 투명하게 인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당국이나 금융권 원로들이 한발짝 빠지는 것이 금융권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나은 일”이라고 꼬집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