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는 KTX광명역을 중국과 러시아의 대륙철도와 연결시키는 구상과 함께 2016년 3월 중국 단동시(북한 신의주 연접)를 시작으로, 6월 훈춘시(북한 나진항 연접)와 철도운행에 따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어 9월에는 러시아의 국경도시인 하산(나진항 연접)과 경제우호교류 의향서를 체결한 바 있다.
이처럼 광명시는 KTX광명역을 유라시아 대륙철도 출발역으로 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해 오면서 국내 철도전문가와 시민들을 중심으로 유라시아대륙철도 체험과 학술대회, 워크숍 등을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민관합동으로 ‘KTX광명역 교통물류거점육성 범시민대책위’를 결성하고 지난 2015년 10월에는 KTX광명역세권 교통·물류거점 육성 관련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경의선은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길이 518.5㎞ 복선철도로 1906년 4월 3일 개통됐다가 6·25 전쟁으로 단절됐다. 광명시는 통일철도 시대를 대비해 온 KTX광명역이 유라시아 대륙철도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출발역으로 중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유라시아대륙철도가 개통되면 광명역을 출발, 평양과 신의주를 거쳐 북경까지 6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어 동북아의 일일생활권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KTX광명역은 해양과 대륙을 연결하는 한반도 중심에 위치해 있는 지정학적 위치와 교통인프라 등을 감안할 때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부상하고 있는 유라시아대륙철도의 출발역으로서 동북아시아 인적 및 물적 교류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김종식 광명시철도정책실장은 “우리 시는 유라시아 대륙철도 시대를 대비, 중국단둥시와 훈춘, 러시아 하산과의 교류협력을 꾸준히 해왔고 앞으로도 시민범대위와 함께 KTX광명역이 통일시대의 중심역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jsn0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