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참석한 이미선 후보자는 “재산 대부분을 주식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서 일부 오해할 수 있는 상황이 돼 대단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직자로 부끄러움 없는 삶을 살려고 노력했지만,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고 보고 반성했다”며 “그런 지적들을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청문회에 앞서 이 후보자는 35억원대의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다. 보유한 주식 중에 자신이 판결한 재판과 관련 있는 회사가 있다고 지적되면서, ‘내부정보를 통한 거래’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는 “저는 재판 업무에 매진하면서 재산문제를 전적으로 배우자에게 맡겼다”며 “종목·수량 선정은 모두 배우자가 했다. 주식거래에는 관여하지 않았고 1년에 한 번 재산 신고를 할 때만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반적인 재산 관리는 배우자가 했고, 가계 생활비 지출은 제가 담당했다”며 “남편은 2001년부터 주식을 했고, 제 명의로 시작한 건 2011년 6월 무렵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전에 모두 남편 명의로 거래를 하다 보니 가계 자산이 남편에게 집중되는 것 같아서 그것을 나누기로 상의했다”며 “2011년 6월∼2014년 남편 명의 계좌에 있던 주식을 제 명의로 이체했다”고 덧붙였다.
판사로 근무하면서 주식투자를 한 것에 대해 이 후보자는 “판사실 컴퓨터로 주식거래가 되지 않는다. 차단돼서 접근되지 않는다”며 “내부 정보를 이용했다거나 이해충돌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주식거래에 불법적인 내용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 후보자는 진보 성향 판사들의 모임으로 알려진 국제인권법연구회와 관련해 “국제인권법연구회가 창립됐을 때 발기인으로 참여했지만 과중한 업무 때문에 전혀 활동하지 못했다”며 “세미나나 법원 모임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이념적 성향을 묻는 질의에 “보수인지 진보인지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며 “사안에 따라 보수로 볼 수도 있고 진보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임대현 기자
xpressur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