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아이 키우기에 좋지 않아’ 응답
4일 인구보건복지협회가 20대 청년 1천명(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연애·결혼, 자녀·가족, 사회·행복에 대한 견해를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향후 출산 의향에 대해 10명 중 4명은 낳고 싶은 편, 6명은 낳고 싶지 않은 편이라고 응답했다
`꼭 낳을 것` 12.3%, `낳고 싶은 편` 30.8%, `낳고 싶지 않은 편` 41.5%, `절대 낳지 않을 것` 15.4%으로 나타났다. 아이를 낳고 싶지 않은 이유로는 `이 사회가 아이를 키우기에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36.4%), 이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지 걱정된다`는 응답(24.1%)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주관적 경제상태에 대해 대부분 나쁘거나(32.3.%) 보통(65.9%)이라고 평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46.6%도 가족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대부분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고(`해 본 적 있음` 75.6%, `현재 하고 있음` 16.7%), 아르바이트로 인해 학업·취업에 지장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10명 중 4명 가까이(37.8%) 답했다.
응답자 대부분은 취업을 위해 따로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고(`한 적 있음` 75.6%, `하고 있음` 18.1%), 이를 위한 비용에 대해 74.1%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
주관적 경제상태에 대해 `생필품을 구매할 때 재정적으로 부담된다`는 응답이 25.7%인 한편, `재정상태에 대비해 비싸더라도 먹고 싶은 것은 사먹는다`는 응답은 62.6%로 나타났다.
`결혼`하면 생각나는 키워드는 가족·가정, 자녀, 사랑, 돈·자금, 행복, 주택마련, 책임감, 안정감, 얽매임 순으로 나타났다.
비혼·혼족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47.8%에 달했으나 비혼·혼족에 대해 사회가 우호적이라는 응답은 7.4%에 불과했다.
향후 결혼 의향에 대해 `하고 싶지 않은 편` 39.3%, `절대 하지 않을 것` 8.0%로 나타났다. 결혼을 꺼리는 이유로 남자는 `혼자 사는 것이 행복하므로`, 여자는 `양성불평등 문화가 싫어서`를 1순위로 답했다.
`자녀`하면 생각나는 키워드는 `내가 책임져야 할 사람`, `사랑`, `기쁨·행복`, `돈·경제력`, `양육`, `나의 일부`, `가족`, `희생`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하고도 의도적으로 아이를 갖지 않는 부부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는 39.5%에 달했다.
현재 사회에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가 통용되는지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이 74.0%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비관적인 응답률이 높았다.
실제로 사회의 불공정함을 경험해 봤다는 응답도 74.2%에 달했으며 불공정성 경험률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았다. 그 이유로는 `윗세대의 부조리함`, `경제력`, `성별` 순으로 꼽았다
불공정성 경험 영역은 경제적인 부분(임금 차이 등), 직장 관련(취업, 승진 등), 학업(진학, 성적 등) 관련 순이었으며 남성은 경제적인 부분-직장관련-학업관련 순으로, 여성은 직장관련-경제적인 부분-학업관련 순으로 응답했다.
본인의 행복도는 10점 만점 5.93점, 또래세대는 4.87점으로, 본인보다 또래세대가 더 행복하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행복해지기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직장 관련(취업난, 경력단절 등) 37.0%, 경제적인 부분(생활비, 등록금 등) 30.0%, 주택난 13.1% 순으로 나타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았다.
미래의 행복전망에 대해 `현재보다 더 행복해 질 것`이라는 응답이 49.1%로 가장 많았다.
인구보건복지협회 신언항 회장은 “청년세대의 사회 및 행복에 대한 비관적인 평가가 높은 편이고, 연애·결혼·자녀·가족에 대한 가치관은 바뀌었으나 아직 사회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다”며 “그럼에도 미래 행복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하고 있어 토론회를 통해 청년세대의 행복을 적극 지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방안이 제안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청년세대들이 생각하는 연애·결혼, 자녀·가족, 사회, 행복에 대한 의견을 파악한 이번 조사는 10월 23일부터 28일까지 20대 청년 1,000명(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실시됐다.
응답자의 일반 특성을 살펴보면 학생 35.6%, 근로자 52.3%, 기타 12.1%였고 거주형태는 본가 거주 69.0%, 그 외 거주 31.0%(1인 가구 22.1%, 2인 이상 가구 8.9%)이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jsn0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