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 서울 8℃

  • 인천 8℃

  • 백령 8℃

  • 춘천 9℃

  • 강릉 7℃

  • 청주 9℃

  • 수원 9℃

  • 안동 10℃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11℃

  • 전주 11℃

  • 광주 11℃

  • 목포 10℃

  • 여수 13℃

  • 대구 12℃

  • 울산 11℃

  • 창원 13℃

  • 부산 13℃

  • 제주 14℃

"14조 부실이 몰려온다"···건전성 관리 '비상'

금융그룹 순익 4조의 그늘

"14조 부실이 몰려온다"···건전성 관리 '비상'

등록 2022.02.13 07:32

차재서

  기자

공유

'소상공인 상환' 유예 종료 임박했지만 잠재부실 규모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워부실 10%에 달하면 작년 성과 '제자리' "충당금 충분히 쌓아 리스크 대응해야"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금융그룹의 이례적인 사상 최대 실적 행진이 환영받지 못하는 것은 코로나19 국면을 거치며 쌓인 잠재 부실이 언제든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기인한다.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하기 알 수 없음에도 각 그룹이 제대로 된 대처 없이 배당·성과급으로 눈앞의 성과를 자축하는 것처럼 비춰져서다.

그러나 정부의 예고대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3월 종료되면 위험이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는 만큼 대손충당금 적립 등 실질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확산 이후 납기를 연장한 대출과 이자는 1월말 기준 총 139조4494억원에 이른다.

세부적으로 만기를 연장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이 129조6943억원이며, 대출 원금을 나눠 갚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9조6887억원도 미뤄준 상태다. 이자 664억원도 유예했다. 5대 은행이 140조원을 웃도는 부실을 떠안고 있는 셈이다.

은행권은 2020년 초부터 정부 방침에 따라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해왔다.

문제는 당국이 오는 3월 이 조치를 종료할 것임을 예고하면서 부실이 표면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누구도 그 규모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가령 10%에 해당하는 14조원의 부실이 발생하면 금융그룹으로서는 작년에 벌어들인 돈을 고스란히 토해내야 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그룹의 대응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4대 금융그룹의 2021년 충당금 적립 규모가 전년보다 줄어든 게 그 단면이다.

먼저 신한금융의 2021년 충당금전입액은 9964억원으로 2020년의 1조3906억원보다 28.3% 감소했고, 하나금융은 5213억원으로 38.4% 줄었다. 우리금융도 마찬가지다. 2020년 7840억원에 이르던 전입액을 작년엔 5370억원으로 31.5% 줄였다. 4대 금융그룹 중 유일하게 충당금을 더 쌓은 곳은 KB금융(1조1851억원, 1417억원 증가) 뿐이다.

물론 각 그룹이 충당금을 줄인 것은 자신감을 표출한 것이기도 하다. 이미 2020년에 충분한 충당금을 쌓았고, 부실채권 비중이 내려가는 등 건전성 지표도 양호한 만큼 부실이 발생해도 감내할 수 있다고 이들은 주장한다.

실제 각 금융그룹의 작년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KB금융 0.33% ▲신한금융 0.39% ▲하나금융 0.32% ▲우리금융 0.30% 등으로 전년 대비 0.1%p 정도 내려갔다. 연체율도 비슷하다. 핵심 계열사인 은행을 살펴보면 ▲국민은행 0.12% ▲신한은행 0.19% ▲하나은행 0.16% ▲우리은행 0.19% 등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는 착시현상에 불과하다는 게 업계의 전반적인 견해다. 코로나19 지원 조치가 종료되면서 한계 차주가 속출하면 NPL비율이나 연체율 등 지표가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금융사는 보통 과거에 비춰 충당금 규모를 정하고 있으나, 장기간 상환을 유예해온 지금으로서는 이 방법에 의존하기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손충당금이 감소했다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한계 차주가 많이 줄었다는 의미"라면서도 "상환 유예 등 정부의 정책 효과가 반영된 결과인 만큼 사실상 건전성이 개선됐다기 보다 리스크가 이연됐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그룹이 지난해 호실적의 기쁨에 젖어있을 게 아니라 리스크에 대한 긴장감을 높여야 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당국도 같은 입장이다. 이달 초 금융지주·은행 리스크 담당 임원과의 면담에서 충당금을 더 쌓을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장기화와 주요국 금리 인상으로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으니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해 부실 여신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당국은 금융그룹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도록 지도하고 배당을 자율에 맡기면서도 예상치 못한 손실을 흡수할 수 있도록 자본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고 위원장은 "코로나19로 영업타격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통화긴축에 따른 금리상승까지 더해지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대출 부담과 부실화가 우리 경제의 또 다른 뇌관이 될 수 있다"면서 "금융회사 역시 자영업자 대출 부실 등 부정적 충격 발생 가능성을 감안해 손실 흡수 능력을 충분히 확충해달라"고 당부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