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금고 입찰 예고에 시중은행 군침 現 1·2금고 신한·우리은행 '2파전' 유력서울 내 ATM·지점 숫자가 승부 가를듯신한은행 '출연금 징계'가 변수 될 수도
서울시는 지난 3일 홈페이지에 공고를 내고 금고 운영사업자 선정을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4월5일부터 7일간 제안서를 접수하고 심의를 거쳐 차기 시금고를 지정한 뒤 늦어도 5월엔 금고업무 취급약정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11일 금융기관 대상 설명회를 열어 심사 기준 등을 안내한다.
차기 금고 약정기간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다. 복수금고로 운영되며, 제1금고(44조2000억원)는 일반회계와 특별회계를, 제2금고(3조5000억원)는 기금을 관리한다. 현재 서울시 1금고는 신한은행, 2금고는 우리은행이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가 2018년 복수금고제를 시행하면서 이 같은 구도가 형성됐다.
관심사는 서울시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금고'를 어떤 곳이 차지하느냐다. 서울시금고에 선정된다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닌다. 최대 지방자치 단체의 '금고지기'라는 타이틀을 따내는 동시에 서울시의 세입과 세출을 바탕으로 수익을 낼 수 있어서다. 25개 자치구 금고 운영권이나 소비자 확보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이다. 금고로 선정된 은행은 지자체로부터 정부 교부금과 지방세 세입 등을 예치받고 세출·교부금 등 출납 업무를 하는데, 지자체 자금을 운용해 투자수익을 거둬들이기도 한다.
업계에선 이번 경쟁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2파전 양상을 띨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KB국민은행이나 NH농협은행을 비롯한 모든 은행이 욕심을 내고 있지만, 1금고 경험이 있으면서 지금도 금고를 나눠 관리하는 이들 은행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이란 분석이다.
2018년엔 신한은행이 자금력을 앞세워 우리은행의 104년 독점구도를 깼다. 당시 우리은행(1000억원)보다 많은 3000억원의 출연금을 약속한 게 결정적이었다. 이로써 우리은행은 1915년 경성부금고 시절부터 맡아온 서울시금고 자리를 경쟁사에 내줬다.
눈여겨볼 대목은 서울시가 올해는 출연금이 아닌 여러 잣대로 심사할 것임을 예고했다는 점이다. 은행의 녹색금융(탈석탄) 이행실적이나 시민 이용 편의성 등 평가항목을 제시하면서다.
특히 서울시 내 ▲지점 수 ▲무인점포 수 ▲ATM(현금자동인출기) 설치 대수 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시민 이용 편의성 항목이 승부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ATM 설치 대수로는 신한은행이 앞선다. 이 은행이 서울에서 운영하는 ATM은 총 2094대다. ▲KB국민은행(1772대) ▲우리은행(1629대) ▲하나은행(1437대) ▲NH농협은행(717대)보다 많다.
반면, 가장 많은 지점을 둔 곳은 우리은행(344개)이다. ▲KB국민은행(332개) ▲신한은행(306개) ▲하나은행(253개) ▲NH농협은행(165개)에 비해 많은 수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2019년도에 행정안전부 금고지정 기준이 바뀌면서 서울시도 세부 평가항목을 수정했다"면서 "3월11일 열리는 설명회에서 은행 측에 구체적인 평가 내용을 소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서울시 금고지정 심의위원회가 현 1금고인 신한은행에 어떤 평가를 내릴지도 관심사다. 지난해 신한은행이 무리한 서울시금고 영업활동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과태료 21억원을 부과받았다. 금감원은 입찰 당시 은행 측이 내놓은 전산시스템 구축 비용 1000억원 중 393억원에 대해선 꼭 필요한 비용이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와 관련 신한·우리은행 측은 "은행 차원에서 시금고 입찰을 앞두고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면서 "서울시가 제시한 평가기준을 갖춤으로써 최대 지방자치 단체의 '금고지기' 자리를 따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