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지방은행 "전국구 관심 없어요"···금융권, 정부 정책에 시큰둥

금융 은행

지방은행 "전국구 관심 없어요"···금융권, 정부 정책에 시큰둥

등록 2023.03.22 17:26

차재서

  기자

공유

지방은행은 '비금융주력자 지분 정리' 걸림돌 저축은행도 '250억' 자본금 요건 등에 부담↑"희망하는 금융사 없을듯···규제 완화가 먼저"

사진=금융위원회 제공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당국이 시장 경쟁 촉진을 목표로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에 각각 시중·지방은행 인가를 내주겠다는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당사자들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 지분보유 한도 등 요건을 맞추는 게 까다로울 뿐 아니라 전환을 해도 실익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실무작업반'을 중심으로 이 같은 논의에 착수했으나, 아직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인 기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위는 과점 시장을 해소하고자 지방은행을 시중은행으로, 저축은행은 지방은행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예고했다. 신규 플레이어로는 단시간 내 은행 시장을 개선하기 어려운 만큼 기존 금융사에 기회를 줌으로써 변화를 이끌겠다는 복안이었다.

그러나 정작 업계에선 실현 가능성에 의구심을 표시하고 있다. 현실적인 문제를 따져봤을 때 과연 이를 희망하는 금융회사가 있겠냐는 인식이 짙다.

먼저 지방은행에선 기존 주주의 지분을 정리하는 게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된다. 은행법에서 은행 성격에 따라 지분 보유 한도를 달리 규정하고 있어서다. 일례로 산업자본의 지분 보유 한도는 시중은행 4%, 지방은행 15%다. 동일인 주식보유한도 역시 시중은행은 10%, 지방은행은 15%로 차이가 있다.

현재 BNK금융지주의 최대주주는 부산롯데호텔을 포함한 롯데 계열사 8곳인데, 이들의 지분율은 11.14%(작년말 기준)에 이른다. JB금융지주도 산업자본의 비중이 크다. 삼양사가 14.14%,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은 14.04%, OK저축은행이 10.21%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지방금융사가 시중은행으로의 전환을 추진한다면 각 주주는 적잖은 양의 주식을 포기해야 한다.

게다가 각 지방은행이 출범 이래 줄곧 지역을 거점으로 영업을 펼쳐왔기 때문에 굳이 시중은행을 지향할 필요가 없다는 게 전반적인 시선이다. 회사명 앞에 붙은 지역의 명칭을 떼면 오랜 기간 쌓아온 정체성이 사라질 뿐 아니라 자연스럽게 경쟁력도 잃을 수밖에 없어서다.

저축은행도 마찬가지다. 지방은행 전환 시 충족해야 하는 요건이 만만찮아 사실상 지원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본금 기준이 대표적이다. 상호저축은행법에선 각 저축은행이 본점 소재지에 따라 40억~120억원의 자본금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본점이 특별시에 있다면 120억원, 광역시는 80억원, 그 외의 지역은 40억원 등이다. 반면, 지방은행은 250억원의 자본금을 필요로 한다. 저축은행으로서는 새 인가를 받기 위해 이를 많게는 6배 이상 늘려야 하는 셈이다.

덧붙여 저축은행의 경우 대출 자산에서 중·저신용자 비중이 절대적이라 지방은행 전환 시 건전성 관리가 어려울 것이란 시선도 존재한다. 예금보험공사 집계 결과 작년 3분기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3%였으며, 연말엔 3%대 초중반까지 상승했을 것이란 관측이 흘러나오고 있다. 같은 기간 지방은행의 연체율은 0.31%다.

이렇다보니 업계 전반에선 정부의 새로운 계획에 대한 우려를 거두지 않고 있다. 은행 숫자가 늘어날수록 건전성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경쟁도 치열해지면서 수익성도 동반 하락할 것이란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법을 비롯한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했을 때 지방은행 또는 시중은행 전환을 원하는 기업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며 "당국으로서도 은행을 늘리기보다 규제를 개선하는 게 먼저가 아닐까 싶다"고 비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