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증권사, 시장구축·사업 진행 이원화 전략 보여증권사 실무 측 "규제 불확실성이 가장 큰 걸림돌"금투협 "법안 따라 각사 의견 모아 개진할 계획"
3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금융위원회는 토큰증권 발행 및 유통 규율 체계 정비방안을 마련했다. 당국은 이를 토대로 이달 중 전자증권법·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당국의 급진적인 전개에 증권사들은 발맞춰 대응 부서를 신설, TF를 갖추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뉴스웨이가 국내 증권사 25개 사(자기자본 기준 상위 25개사)를 분석한 결과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의 대형 증권사는 본사업 영역과 인프라(생태계) 구축 영역으로 이원화된 대응 체계·협의체를 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 대형 증권사와 비교해 적은 인력과 자본을 들일 수밖에 없으나 시장 선점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타 증권사와 협력하거나 발행사와 MOU를 체결·논의하는 모습이다.
먼저 대형 증권사의 대표적 예로 미래에셋증권은 회사의 디지털부문 내 디지털자산TF에서 토큰증권 사업을 담당 중이다. 해당 TF는 사업전략&추진 파트와 개발 파트로 나누어져 있으며 회사의 협의체 또한 토큰증권 생태계 구축을 위한 '넥스트파이낸스이니셔티브(NFI)'와 토큰증권 발행·유통 실무 협의체 '토큰증권워킹그룹(STWG)'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또한 이원화 전략을 채택 중이다. 회사는 플랫폼본부를 신설, 클라우드·디지털자산·마이데이터 사업 등의 각종 디지털신사업을 담당 중이다. 협의체로는 운영협의체와 기술협의체를 두고 있으며 분산원장 시범 운영 파트너와 시스템 구축 기술 파트너로 각각 토스뱅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의 기업과 협력 중이다.
NH투자증권은 디지털신사업부에서 토큰증권과 관련된 제도 F/U(경과 관찰)를 진행, 토큰증권 대응 TF를 신설하여 비즈니스와 기술영역에 대한 세부 과제를 다루고 있다. 협의체로는 'STO비전그룹'이 있으며 투게더아트·트레져러·그리너리 등의 조각투자사업자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신한투자증권(블록체인부), 'STO얼라이언스' ▲하나증권(TF), 루센트블록 등과 MOU 체결 ▲키움증권(TF), 뮤직카우 등과 MOU 체결 ▲한화투자증권(디지털기획모듈), 신종자산사업자들과 MOU 체결 ▲BNK투자증권(디지털기획부), 코스콤과 협업 ▲SK증권(디지털사업본부), 증권사·은행 등과 협의체 구성 ▲유진투자증권(DT전략팀), 람다256 등과 MOU 체결 등에 나섰다.
그러나 당국의 급진적인 추진에 제도가 뒷받침되지 않은 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증권사 내부 실무진들은 규제 불확실성이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제도적 불확실성이 제일 큰 걸림돌로 작용해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의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라며 "정부 차원에서 빠른 법령 개정과 정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자기자본 기준 상위 10위 내에 위치한 삼성증권과 메리츠증권의 경우 타 증권사들처럼 적극적인 움직임에 나서지 않고 있다. 중소형 증권사의 경우에도 아직 검토 단계에 있거나 대응 부서만 신설한 뒤 초기 단계에 머물렀다.
증권사 내부에서 고충이 이어지자, 금융투자협회는 당국의 법안과 발맞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라 밝혔다.
금투협은 증권·선물 본부, 증권 2부 산하 디지털금융팀에서 STO시장 대응에 나서며 해당 부서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업을 각 증권사와 기업에서 진행, 협회는 모범규준이나 가이드라인을 내린 후 각 회사의 의견을 모아 개진하는 역할을 한다"라며 "법이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향후 규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정해질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한승재 기자
transfer@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