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 서울 6℃

  • 인천 4℃

  • 백령 7℃

  • 춘천 2℃

  • 강릉 5℃

  • 청주 5℃

  • 수원 4℃

  • 안동 3℃

  • 울릉도 9℃

  • 독도 9℃

  • 대전 5℃

  • 전주 7℃

  • 광주 7℃

  • 목포 9℃

  • 여수 10℃

  • 대구 7℃

  • 울산 9℃

  • 창원 9℃

  • 부산 8℃

  • 제주 8℃

금융 우리금융 임종룡號 '기업금융 명가 재건' 외쳤는데···시장은 '한계기업 늘고 연체율 증가'

금융 은행

우리금융 임종룡號 '기업금융 명가 재건' 외쳤는데···시장은 '한계기업 늘고 연체율 증가'

등록 2023.10.18 10:16

차재서

  기자

공유

기업대출 9월말 139조···전분기比 6조6천억 늘어 금융권 "흐름 못 읽은 무리한 경영방침" 시각글로벌 복합위기·내수위축···기업대출 확대 전략은 '毒'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1년 전보다 1.8배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이찬희 기자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1년 전보다 1.8배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선언한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경영가도에 먹구름이 잔뜩 끼었다. 불황으로 인한 소비 위축에 한계 기업이 늘어나면서 이들에게 내준 대출이 경제의 뇌관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임종룡 회장은 취임 후 '기업금융 명가'를 재건하겠다고 강조했다. 상반기 부진한 실적을 기업금융을 강화해 만화하겠다는 계산이었던 것. 현재 우리금융은 상승하는 연체율과 늘어나는 충당금 부담으로 연간 목표 달성은 커녕 당장 3분기 실적조차 낙관할 수 없는 형국이다.

"충당금 추가 적립에 이익 감소"···우리금융, 3Q 실적 전망 '흐림'

17일 증권가에서는 우리금융의 3분기 당기순이익이 10%가까이 줄어들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먼저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우리금융의 분기 순이익을 전년 동기(8998억원) 대비 6.7% 감소한 8392억원으로 추산했다. 개별 증권사는 더 보수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일례로 BNK투자증권은 우리금융의 순이익을 10.3% 줄어든 8073억원으로 분석했고, 한화투자증권은 12.3% 급감한 7896억원을 제시했다.

우리금융을 향한 부정적인 시선은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 급격히 늘어난 대출 자산에 기인한다. 주요 은행이 3분기 결산부터 부도 시 손실률(LGD) 기준을 더 강화하는 만큼 우리은행 역시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데, 그 부담에 그룹 이익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LDG는 대출채권에 부도가 났을 때 은행이 회수하지 못해 손실 처리되는 금액을 의미한다.

올 들어 우리금융은 대손충당금을 크게 늘렸다. 상반기 그룹의 충당금 잔액은 8180억원이며, 2분기에만 5560억원을 적립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시스템 변화에 따라 하반기엔 더 많은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우리금융 실적에 대해 "경상적인 분기 대손비용이 두 배 수준으로 증가한 가운데 LDG 값 조정에 따른 충당금 추가 전입을 가정한 게 감익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LGD 상향에 따른 추가 충당금적립(3분기 700억원, 4분기 800억원)을 가정했을 때 우리금융의 대손충당금전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146.8% 큰 폭으로 증가한 3090억원"이라고 내다봤다.

"복합 위기에 연체율↑···임종룡號 전략 수정 불가피"

결국 시장 흐름을 놓친 임종룡 회장의 무리한 경영 방침이 우리금융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게 업계의 전반적인 시선이다. 결과적으로 리스크를 키우고 있는 장본인이 임 회장이라는 것이다.

현재 우리금융 핵심 계열사 우리은행은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기치로 관련 영업에 주력하고 있다. 이들이 새롭게 수립한 전략은 기업대출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2026년말 기업대출 잔액을 207조4000억원까지 끌어올려 포트폴리오 내 여신 비중을 60%까지 높이고 2027년에는 기업금융 분야에서 선두로 발돋움한다는 청사진을 담고 있다

우리은행은 5년 내 대기업 여신을 15조원 늘리고 300개 중견기업에 총 4조원을 지원하는 등의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이후 기업대출 잔액을 6월말 132조4596억원에서 9월말 139조805억원으로 약 5% 확대하는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은행이 기업금융으로 눈을 돌린 것은 가계대출에 의존했다가는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가계대출 증가세에 놀란 금융당국이 영업에 제동을 건 탓이다.

임 회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전년 동기 대비 12.7%나 뒷걸음질 친 상반기 실적(순익 1조5386억원)에 상심한 그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함께 기업금융 영업을 강화함으로써 연간 목표 달성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주문했다. 올해 취임한 CEO로서 전임자보다 부진한 성적표를 내민 데 대한 불안감으로도 읽힌다.

하지만 문제는 지금과 같은 국면에서 기업에 무분별하게 대출을 내줬다간 추후 은행에 큰 짐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시장에선 심상찮은 분위기가 속속 감지되고 있다. 고금리 기조에도 기업의 자금 수요와 맞물려 대출이 크게 늘어난 와중에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업체가 속속 등장하며 긴장을 키우는 모양새다.

실제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7월말 은행권 기업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년 동기 대비 0.17%p 뛰었다. 그 중 상당수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6월말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43%로 1년 전(0.24%)보다 1.8배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내지 못하는 기업(한계기업)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한국은행이 작년말 외부감사 기업 2만5135곳을 조사한 결과 한계기업은 전체의 15.5% 수준인 3903곳에 달했고, 7년 이상 장기존속 한계기업 903곳이 짊어진 빚만 5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금융회사가 대출 자산을 늘리기보다 부실이 확산되지 않도록 건전성 관리에 치중할 때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물론 우리은행 측은 안정적인 곳을 선별해 여신을 내준다면 건전성에 타격이 오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지만, 이제는 우량기업도 안심할 수 없게 됐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부실 징후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 작업(워크아웃)을 지원하는 기업구조조정 촉진법(기촉법)이 지난 15일부로 효력을 잃으면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덧붙여 우리은행의 손실흡수관리능력을 우수하다고 평가하기도 어렵다. 4대 은행을 비교했을 때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6월말 기준 0.29%로 하나은행(0.28%)과 신한은행(0.27%), 국민은행(0.23%)보다 높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이 떠안고 있는 고정이하여신도 7011억원으로 전년 대비 24.4% 증가했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는 "글로벌 복합위기와 내수 위축으로 불안정한 시장 환경 속에 무리하게 기업대출을 늘리는 것은 장기적으로 경영에 독이 될 것"이라며 "CEO로서 눈 앞의 실적이 급하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임 회장도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