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업계 최초 전 계열사 AI업무 담은 '플랫폼' 준비신한銀, AI로 "보이스피싱 예방"···하나銀, 소상공인 지원우리은행, 새로운 AI 서비스 미리 경험···'실험실' 오픈
먼저 KB금융은 그룹 차원에서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이번 공동 플랫폼이 출시되면 KB국민은행 뿐 아니라 KB증권, KB손해보험 등 모든 계열사의 생성형AI 서비스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시는 올해 안에 가능할 전망이다.
KB금융 관계자는 "그룹 계열사의 모든 AI 업무가 가능한 플랫폼은 업계 최초"라며 "생성형AI 서비스를 추진을 통해 은행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중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금융소비자들이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개별이 아닌 그룹 공동 플랫폼 개발을 통해 계열사 간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고 중복 투자를 방지하는 부수 효과도 따른다"고 덧붙였다.
앞서 KB국민은행은 플랫폼 '리브 넥스트'(Liiv Next) 내 'AI 금융비서 서비스' 오픈베타테스트를 시작했다. AI 금융비서는 국민은행이 개발 중인 초개인화 서비스다. 국민은행은 최근 지점에 설치했던 AI은행원을 모바일 앱에 탑재해 개별 고객의 맞춤 포트폴리오, 금융상품을 추천한다. 또한 금융 관련 질의응답 등 고도화 서비스도 제공해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신한은행은 AI 챗봇 '오로라'를 통해 은행 업무 외 비대면 상담 내역을 분석해 연령과 상품 가입 이력, 관심 상품 추천 등 맞춤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더해 기존 RPA를 넘어 업무프로세스 개선을 고도화 하고자 중앙형 로봇에 개인형 로봇을 더하고 각종 AI기술 등을 접목시킨 'R비서' 개발을 진행중이다. 이를 통해 모든 직원에게 'AI 비서'를 제공해 '1인 1봇' 체계를 구현해 직원들의 업무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초거대 AI 기술 결합을 통해 단순 자동화를 넘어선 문서를 '읽고-분석하고-생성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신한은행은 지난 2022년 3월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AI 이상행동탐지 ATM'을 은행권 최초로 도입했다. AI딥러닝을 통해 연령대별 다양한 거래유형을 학습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이 거래 중 휴대폰 통화를 하거나 선글라스 및 모자를 착용하는 이상행동을 보일 경우 이를 탐지해 거래 전에 고객에게 주의 문구를 안내하는 방식이다. 서비스 도입 후 사고 접수 계좌 수와 사고 접수 건수가 각각 67%, 38%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지난 4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실시간 우대 금리를 반영해 예·적금 상품을 추천하는 'AI 뱅커 서비스'를 내놨다. 지난 7일부터는 새로운 AI를 미리 경험할 수 있는 '실험실' 서비스도 도입했다. 실험실을 통해 생성형 AI를 이용해 주요 주가지수와 유사한 과거 시황은 물론 각종 경제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개개인이 보유한 청약 계좌에 맞는 분양정보 등도 알 수 있게 했다.
하나은행은 '하이챗봇'을 통해 실시간 대화 방식으로 상담창구 역할은 물론 맞춤형 금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금융공학과 AI, ML 기술을 결합해 투자자에게 맞춤형 정보나 전략을 제공하는 AI-퀀트(Quant) 분야 서비스도 출시했다. 또한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금융소비자별 투자 성향과 목적에 맞는 금융상품 포트폴리오를 추천하는 '하이로보'도 오픈했다. 지난해 4월에는 퇴직연금에 AI를 적용한 'AI 연금투자 솔루션'과 초개인화 AI 자산관리 플랫폼인 '아이웰스(AI Wealth)'도 선보였다.
AI를 통해 소상공인 지원에 나선 사례도 있다. 하나은행의 'AI 기반 정책자금 맞춤조회' 서비스는 최신 정책자금 트렌드를 AI가 매일 학습·분석해 실제 이용 가능한 소상공인에게 맞춤형 정책자금대출 상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자체 개발한 일치율 지표로 3만2000여개 고객 집단과 약 200여개의 정책자금상품을 분석했다.
해외로 송금할 업무가 잦은 기업들을 위해서는 해외송금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과정을 실시간 조회할 수 있는 'AI 해외송금 예측'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서비스를 통해 해외송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예측하거나, 지연된다면 지연사유를 안내해 비즈니스 불확실성을 낮출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수출입 기업들은 해외수입업자가 보낸 물품대금의 진행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은행을 방문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crysta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