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방식 혁신' 간담회 사내 AI 모델 구축·공유시스템 도입AX기반 외부 확장 추진
김민지 KT 기술혁신부문 과장은 11일 서울 KT 광화문 이스트 사옥에서 열린 '일하는 방식의 혁신' 기자설명회에서 이를 강조했다. KT는 지난해 말부터 전 직원의 AX 역량 강화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생성형 AI '코파일럿'을 도입했다.
KT는 직원들이 자체 AI 모델을 만들어 사내에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7가지 AI 에이전트 패턴을 정의하고 표준 아키텍처를 마련했다. 직원들은 이를 활용해 자신만의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다.
AI 에이전트는 ▲사내문서 검색 및 요약 ▲반복업무 프로세스 단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기반 시스템 실행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촉진 ▲고객과 상호작용 지원 ▲임직원 학습 및 역량 강화 ▲규정준수와 리스크 관리 지원 등 이다.
또한 직원들이 유용한 프롬프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내 플랫폼 '프롬프트 버디'를 공개할 예정이다.
정명호 KT 기술혁신부문 상무는 "AI는 기업의 의사결정과 업무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며, 제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 혁신 요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는지가 기업과 직원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KT가 AI 도구로 코파일럿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기존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AI 도구를 검토한 결과, 코파일럿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를 다양한 업무에 우선 적용하며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있다.
AI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별 업무용 PC의 데이터를 중앙화하고, 기업 정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클라우드 PC로 전환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협업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다.
KT는 내부 AX 경험을 기반으로 외부 고객 대상의 AX 확산도 추진하고 있다. 기업 고객과 정부기관을 위한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산업별 특성과 고객 수요를 반영한 도메인 특화 버티컬 AI 모델도 준비하고 있다. DX 사업 역량을 AX로 확장해 AICT 기업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 상무는 "전 직원이 AI를 업무에 반영하고, 이를 활용하는 문화를 조성해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서문찬 KT 충남충북광역본부 기술지원부 부장은 "MS 솔루션 도입 초기 단계지만, 직원들이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s://nimage.newsway.co.kr/assets/image/photo/opinion/xxian212.png)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