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의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에 따르면 비트코인 래퍼 자금은 비트코인 ETF 옵션 출시, 트럼프 당선 등으로 강한 유입세를 보인 후 지난해 12월 말 금리 인하 지연 우려와 리스크 축소로 유출 압력이 발생했다. CME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및 차익 실현 등에 따라 미체결 계약과 베이시스(선물·현물 가격 차이)가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단기성 기관 자금이 연준의 통화 정책 변화와 거시경제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변동성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기성 기관 자금 지표인 크립토 펀드 운용 자금은 기간 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코인베이스의 기관 거래량이 전년 대비 139% 증가함에 따라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강화됐다.
보고서는 기관 자금을 ▲비트코인 래퍼(단기성) ▲CME 비트코인 선물 시장(단기성) ▲크립토 펀드 운용 자금 규모(장기성) ▲기관투자자 지원 사업 현황(장기성) 등 네 가지 주요 지표로 구분해 분석했다.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기관 자금 유입이 증가하면서 기관 중심의 시장 성숙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기관 자금 흐름 속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가상자산 정책 변화가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유성범 기자
liusf1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