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SK일렉링크 측은 법적 규제와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SK일렉링크는 글로벌 인증기관을 통해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발행받을 예정이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내연기관 차량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을 지급받게 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박원재 SK일렉링크 기획운영실장은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을 통해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함으로써 ESG 가치 실현의 폭을 더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고자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고 언급했다.
SK일렉링크는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으로 수익이 발생할 경우 충전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품질 개선에 재투자한다. 아울러 전기차 충전과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연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여 마켓 리더로서의 위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SK일렉링크는 전국 4800여 급속충전기 등 보유 인프라로 2023년부터 수집한 충전량 데이트를 기반으로 2033년까지 자발적 탄소배출권 320만톤 확보라는 목표를 세웠다. 1억 그루 이상의 나무가 연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양이다.
SK일렉링크 관계자는 "충전시설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실시한다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면서 "ESG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소비자 중심 서비스를 구축해 전기차 충전업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