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9일 화요일

  • 서울 19℃

  • 인천 17℃

  • 백령 13℃

  • 춘천 22℃

  • 강릉 18℃

  • 청주 22℃

  • 수원 19℃

  • 안동 22℃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20℃

  • 전주 21℃

  • 광주 22℃

  • 목포 19℃

  • 여수 17℃

  • 대구 23℃

  • 울산 16℃

  • 창원 19℃

  • 부산 17℃

  • 제주 16℃

증권 "신규 상장 1건, 상장사 매매 정지 위기감까지"···얼어붙은 코넥스시장

증권 증권일반

"신규 상장 1건, 상장사 매매 정지 위기감까지"···얼어붙은 코넥스시장

등록 2025.04.29 14:24

김세연

  기자

공유

올 들어 코넥스 신규 상장사 오션바이오 단 1곳 거래정지 공시 상장사는 12곳으로 2배 이상↑ 정부지원 감소·기술특례상장 활성화 등이 영향

그래픽 = 이찬희 기자그래픽 = 이찬희 기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코넥스 시장이 얼어붙었다. 올 들어 신규 상장은 단 한 건에 불과한데 주권매매거래정지 기업은 전년 대비 2배 늘었다. 증시 부진과 정부 지원 중단 등 복합적 요소들이 기업들의 신규 상장을 주저하게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28일 기준) 코넥스 시장 신규 상장은 오션바이오 단 한 곳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상장사는 3곳, 코스닥 상장사는 30곳이다. 코스닥 상장 경우에는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을 제외해도 23곳이다.

코넥스 시장 신규 상장 기업이 줄고 있는 가운데 기존 상장사의 주권매매거래정지 공시는 오히려 늘었다. 28일 종가 기준 코넥스 상장사 중 나라소프트·씨앗·삼일금속 등 12곳(중복제외)이 관련 공시를 기재했다. 이는 전년 동기(5개)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주권매매거래정지 사유를 확인해보면 ▲상장폐지 사유발생 ▲분산요건미달 사유 발생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사유발생) 등이다.

이 같은 코넥스 시장의 침체는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코넥스 시장은 중소·벤처(VC)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고자 2013년 7월 개설한 중소기업 전용 증권시장이다. 이 기업들이 상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회사 성장을 위해 쓰면서 코스닥 입성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국내 증시 부진이 이어졌고, VC 자금 침체 장기화 상황에서 정부가 지원 규모마저 줄이자 코넥스 시장의 위기가 현실화 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해 이어 올해도 금융위원회 예산안에서 '코넥스 활성화 국고보조금 지원사업'을 제외했다. 이로써 2년 동안 코넥스에 대한 정부 보조금은 '0'원이다.

정부는 그간 코넥스에 새로 상장하는 모든 기업에 비용 지원을 해줬다. 지장자문인인 증권사에 제공되는 수수료, 상장 유지비용 등이 지원 내용에 포함된다.

기술특례상장 활성화로 중소기업들이 코스닥 직상장에 나설 수 있던 점도 코넥스 시장 침체 원인으로 꼽힌다. 기술특례상장(테슬라요건) 제도는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아직 수익성이 부족한 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수 있도록 재무요건을 완화해주는 제도다. 일반적인 코스닥 상장 기업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요건을 충족해야 하나 기술특례상장은 기술 평가를 기반으로 해 ▲자기자본 10억원 이상 ▲시가총액 90억원 이상 ▲기술평가 요건 ▲성장성 평가 조건을 충족한 적자 기업도 상장할 수 있다.

요건이 완화되면서 중소 및 벤처기업들은 기술특례상장으로 관심을 옮겼다. 지난해 기술성장특례로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기업은 42곳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같은 기간 코넥스 신규 상장 기업은 6곳으로 2022년·2023년 14곳에 비해 크게 줄었다. 신규 상장 기업이 줄면서 자금 조달 규모도 지난 1분기 3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60% 감소했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올해 코넥스 시장 신규상장 기업을 지난해보다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지난 2022년 나온 코넥스 활성화 방안에 맞춰 노력하고 있다"며 "최근 기업들과의 접촉을 강화하고 지정자문인 중심으로 기업이 활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증권사와 접촉을 늘리는 방향으로 신규 상장을 좀 더 유도하려고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2022년 금융위원회는 코넥스 시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주 방향성은 신규 상장 지원, 투자자 편의성 향상, 코넥스 기업 지원 강화 세 가지다. 이를 위해 ▲코스닥 이전 상장 요건 완화 ▲기본 예탁금 폐지 ▲코네스 스케일업 펀드 조성 등이 마련됐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