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 영업익 5053억원···전년比 15% ↑서치플랫폼·커머스 성장이 호실적 견인"쇼핑 앱 자기 잠식 없어···AI 투자 확대"
네이버는 9일 올해 1분기 매출 2조7868억원, 영업이익 5053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10.3%, 15% 늘어난 수준이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핀테크는 3927억원 ▲콘텐츠는 4593억원 ▲엔터프라이즈는 1342억원의 매출을 냈다.
이 같은 호실적은 네이버의 주요 사업인 서치플랫폼과 커머스 부문의 성장 덕분이다. 서치플랫폼은 상품 개선 및 타겟팅 고도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1조127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면 최적화가 진행되고, 상품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전체 광고 효율 및 매출이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커머스 부문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 N배송 개편, 멤버십 혜택 강화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7879억원을 달성했다. 올해 1분기 스마트스토어와 서비스 거래액 성장으로 네이버 커머스의 온-플랫폼(On-Platform)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늘었다.
핀테크는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3927억원을,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해 4593억원을 기록했다. 엔터프라이즈 부문은 1342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수준이다.
네이버는 올해 커머스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진행된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네이버는 투 트랙 전략을 통해 기존 네이버 앱이나 모바일 웹을 통해서 유입되는 일반 사용자들의 규모를 유지하면서도, 방문 빈도수나 구매 전환율이 높은 충성 고객을 중심으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으로 유입시키고 있다"며 "애초 우려가 됐었던 카니발리제이션(자기 잠식) 없이 가고 있는 게 고무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쇼핑 애플리케이션(앱) 개편이나 제휴 생태계를 통한 멤버십 혜택 강화로 올해 두 자릿수 거래액 성장에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컬리와 맺은 파트너십에 대해서는 "신선식품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하반기 컬리와 제휴한 서비스를 출시할 것"이라며 "고품질의 상품 구성을 확대하고 가격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온서비스 AI 전략도 이어간다. 김희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검색, 커머스 등 주요 버티컬 서비스에 AI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GPU 인프라 투자가 계속될 예정"이라며 "이에 따라 관련 자본적 지출(CapEx)과 인프라 비용의 매출 대비 비중도 기존보다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CFO는 "이러한 투자 확대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무작정 따라가는 방식은 아니다"면서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에 대한 선제적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판단 아래, 중장기적 관점에서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