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는 21일 발표한 '메모리 슈퍼사이클' 보고서에서 "HBM을 둘러싼 기회가 업계 평균 성장률을 넘어서고 있으며 AI 서버와 모바일 D램 수요에 힘입어 일반 메모리 가격도 다시 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2027년경 정점 패턴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에 대해서는 "HBM 관련 리스크는 이미 시장에 반영돼 있으며, 일반 메모리 시장은 내년 업사이클에 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삼성전자, 일본 키옥시아, 미국 샌디스크를 낸드와 D램 호황을 반영할 선호 기업으로 꼽았다.
이어 "관세 이슈가 촉발한 반등이 내년에는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며 "D램 공급 과잉은 완화되고 낸드는 AI eSSD 수요 급증으로 공급 부족 국면에 들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도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증시가 사상 최고 수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고 분석했다. 코스피는 선진국 대비 51%, 신흥국 대비 34% 낮은 수준이라며 정부의 증시 개혁과 주주친화 정책 확산으로 추가 상승 가능성을 제시했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